더 빠른, 더 많은 데이터의 ‘두 얼굴’

더 빠른, 더 많은 데이터의 ‘두 얼굴’

입력 2013-08-28 00:00
수정 2013-08-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월 들어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무선통신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6월 SK텔레콤이 상용화한 2배 빠른 롱텀에볼루션 어드밴스트(LTE-A) 서비스, 또 데이터 용량을 2배 제공하는 KT의 ‘2배가 돼! 페스티벌’ 등이 데이터 과소비를 불러올 것이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난 셈이다.

27일 미래창조과학부의 ‘무선 트래픽 이용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무선 트래픽은 총 7만 5503테라바이트(TB)로 6월 대비 5006TB 증가했다. 4월 6만 9331TB, 5월 7만 861TB, 6월 7만 497TB로 최근 큰 변동이 없던 트래픽이 7월 한 달간 급증한 것이다.

특히 LTE와 LTE-A를 합한 4세대(4G) 트래픽은 지난달 4812TB가 늘었다. 6월 증가량 1035TB의 4.6배에 달한다. 더욱이 최근 감소세에 있던 3세대(3G) 트래픽까지 증가했다. 가입자가 LTE로 차차 옮겨 가며 자연스럽게 줄고 있던 3G 트래픽은 지난달 157TB 증가했다.

LTE-A는 출시 당시부터 데이터 과소비를 습관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속도가 빠른 만큼 편의성이 개선돼 인터넷 이용이나 대용량 콘텐츠 사용량이 늘기 때문이다. SKT의 LTE-A 가입자는 하루 1만명꼴로 증가해 최근 40만명을 돌파했다. 여기에 지난달 18일 상용화된 LG유플러스의 LTE-A 가입자가 증가하고, KT 역시 LTE-A 상용화에 합류하면 데이터 트래픽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KT는 지난달부터 ‘완전무한’, ‘모두다 올레’ 요금제를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무료 데이터 용량 2배를 제공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2배 혜택은 10월 말까지로 한정돼 있어 한 차례 늘린 데이터 사용량을 다시 줄이지 못하면 가입자들은 결국 추가 요금을 부담하거나 더 비싼 상위 요금제로 갈아탈 가능성이 크다.

이동통신사들은 아직 LTE-A 전용 요금제도 내놓지 못한 상황이다. LTE-A 기반의 고화질 모바일 방송 등 데이터를 많이 쓰는 신규 서비스는 내놨지만 요금제는 기존 LTE 것을 그대로 쓰도록 해 자연스럽게 통신비 부담이 커지는 구조다.

SKT 관계자는 “LTE-A 출시 당시 데이터 사용 환경에 맞는 요금제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고 준비 중에 있다”고 전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08-2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