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아웃링크 원한 언론사 50곳 중 1곳뿐”

한성숙 “아웃링크 원한 언론사 50곳 중 1곳뿐”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8-05-09 13:58
수정 2018-05-09 1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가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와 실시간 검색어를 빼고 뉴스편집에서 손을 떼겠다고 밝혔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9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 파트너스퀘어 역삼에서 최근 ’드루킹 사건’ 이후 논란에 휩싸인 뉴스편집과 댓글 등 서비스에 대한 개선책을 발표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9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 파트너스퀘어 역삼에서 최근 ’드루킹 사건’ 이후 논란에 휩싸인 뉴스편집과 댓글 등 서비스에 대한 개선책을 발표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기사 콘텐츠를 네이버 홈에서 읽는 현재의 인링크 방식 대신 각 언론사 사이트에 넘어가서 읽는 아웃링크 방식에 대해서는 일괄적 도입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9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네이버 파트너스퀘어 역삼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뉴스 및 댓글 개선 정책을 발표했다.

한 대표는 아웃링크 방식을 원한 언론사가 거의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제휴 언론사 70개 매체에 설문을 보냈고 70% 정도가 회신을 줬다”면서 “회신의 절반 정도는 유보적 입장이었고 찬성은 1개 매체였다. 나머지는 다 인링크를 원했다”고 말했다.

아웃링크 방식을 채택할 경우 소비자들의 불편이 우려된다는 게 네이버의 설명이다.

한 대표는 “아웃링크에 대한 유저들의 가장 큰 불편함은 광고 배너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악성코드 감염에 대한 컴플레인도 많았다”면서 “사용자들에게 더 좋은 가치를 줄 수 있는 상생방안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만약 아웃링크를 적용했을 때 반발이 크다면 정책을 바꿀 생각이냐는 질문에 한 대표는 “유저가 원하는 형태를 선택하게 될 것”이라면서 “모두가 인링크 혹은 아웃링크를 하는 구조는 바람직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네이버 측은 PC 화면 개선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입장이다. 한 대표는 “일단 모바일 메인에 집중하려 한다. 뉴스 소비가 모바일에 집중되고 있어서 PC 쪽은 개선 이후에 가야 할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