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 4·5종 사업장 368곳 무상 지원
2026년 IoT 의무화 대비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이하 센터)가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368곳(기존 210곳·신규 158곳)을 대상으로 IoT(사물인터넷) 측정기기 설치 및 운영 기술지원을 지난 2월부터 10월까지 마쳤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개정으로 4·5종 대기배출사업장에 대해 내년 12월까지 IoT 측정기기 부착이 의무화된 데 따른 서울시의 선제적 관리 강화 조치다.
센터는 이번 기술지원을 통해 첨단 기기를 활용한 사업장의 환경 관리가 조기에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주력했다.
먼저, 기존에 IoT가 설치된 사업장 210곳에 대해서는 측정자료 전송 현황을 정밀 점검하고,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의 적정 관리 방안을 지원했다. 신규 설치 시설 158곳은 계측기 적정 설치 여부와 전송 상태를 확인하고, 변경 필요 사항을 사업장과 관할 구청에 안내했다.
특히, 기술지원을 통해 확인된 각 사업장의 IoT 오류 사항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조치를 요청하는 한편, 방지시설 관리를 위한 맞춤형 컨설팅도 제공했다. 이 중 비정상 신호가 발생하는 71개 사업장에 대해서는 심층 기술지원을 실시해 IoT 및 방지시설의 운영 정상화를 위한 컨설팅을 집중적으로 진행했다.
센터는 사업장의 안정적인 IoT 운영을 돕기 위해 오는 12월까지 기술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며, 지원이 필요한 사업장은 상시 신청이 가능하다.
구자용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장은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 관리의 전문기관으로서 서울시 대기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2026년 IoT 의무화 대비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이하 센터)가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368곳(기존 210곳·신규 158곳)을 대상으로 IoT(사물인터넷) 측정기기 설치 및 운영 기술지원을 지난 2월부터 10월까지 마쳤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개정으로 4·5종 대기배출사업장에 대해 내년 12월까지 IoT 측정기기 부착이 의무화된 데 따른 서울시의 선제적 관리 강화 조치다.
센터는 이번 기술지원을 통해 첨단 기기를 활용한 사업장의 환경 관리가 조기에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주력했다.
먼저, 기존에 IoT가 설치된 사업장 210곳에 대해서는 측정자료 전송 현황을 정밀 점검하고,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의 적정 관리 방안을 지원했다. 신규 설치 시설 158곳은 계측기 적정 설치 여부와 전송 상태를 확인하고, 변경 필요 사항을 사업장과 관할 구청에 안내했다.
특히, 기술지원을 통해 확인된 각 사업장의 IoT 오류 사항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조치를 요청하는 한편, 방지시설 관리를 위한 맞춤형 컨설팅도 제공했다. 이 중 비정상 신호가 발생하는 71개 사업장에 대해서는 심층 기술지원을 실시해 IoT 및 방지시설의 운영 정상화를 위한 컨설팅을 집중적으로 진행했다.
센터는 사업장의 안정적인 IoT 운영을 돕기 위해 오는 12월까지 기술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며, 지원이 필요한 사업장은 상시 신청이 가능하다.
구자용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장은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 관리의 전문기관으로서 서울시 대기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