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한 잔 2600원이 적당”…제일 비싼 프랜차이즈는 어디?

“커피 한 잔 2600원이 적당”…제일 비싼 프랜차이즈는 어디?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4-11-05 14:59
수정 2024-11-05 15: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소비자원, ‘적정 커피 가격’ 조사

이미지 확대
커피 자료 이미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아이클릭아트
커피 자료 이미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아이클릭아트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아메리카노 한 잔의 적정 가격은 2635원이며, 주요 카페 프랜차이즈 매장에서는 이보다 최대 두 배 가까운 가격에 아메리카노를 판매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은 커피 소비자 1000명과 25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커피 및 음료의 실제 판매 가격이 소비자가 생각하는 ‘적정 가격’과 최대 32.4%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소비자원이 최근 6개월간 커피전문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3.5%(735명)가 커피전문점의 커피 및 음료 가격이 비싸다고 응답했다.

소비자가 기대하는 적정 가격은 아메리카노가 2635원, 카페라떼 3323원, 카라멜 마끼아또 3564원, 티(Tea) 2983원으로 조사됐다.

아메리카노 평균 3001원…4명 중 3명 “비싸”반면 소비자원이 지난 5월 28일부터 약 1개월간 25개 커피 프랜차이즈의 수도권 소재 125개 매장의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기본 사이즈의 실제 판매가격은 아메리카노가 평균 3001원, 카페라떼 3978원, 카라멜 마끼아또 4717원, 티 3555원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평균 판매가격은 소비자가 기대하는 적정 가격보다 최소 13.9%(366원)에서 최대 32.4%(1153원)까지 높은 것이라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소비자가 기대하는 ‘적정 커피 가격’과 25개 커피전문점의 평균 판매 가격. 한국소비자원
소비자가 기대하는 ‘적정 커피 가격’과 25개 커피전문점의 평균 판매 가격. 한국소비자원


25개 프랜차이즈 중 커피 및 음료 가격이 가장 비싼 곳은 커피빈으로, 아메리카노가 5000원, 카페라떼 5900원, 카라멜 마끼아또 6900원, 티 6000원이었다. ‘적정 가격’ 대비 커피는 2365원, 카페라떼는 2577원, 카라멜마끼아또는 3336원, 티는 3017원 비쌌다.

이들 커피전문점은 모바일로 주문하는 ‘스마트오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음료 제조를 시작하지 않았는데도 주문 취소를 할 수 없는 등 소비자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고 소비자원은 지적했다.

소비자원이 21개 커피전문점의 스마트오더 앱을 조사한 결과, 이중 15개 전문점의 스마트오더 앱에 주문취소 기능이 없었으며, 3개 전문점은 주문 후 변경 및 취소가 불가하다는 사전고지나 동의 절차조차 없었다.

“아직 음료 안 만들었지만, 주문 취소 안 되십니다”실제 소비자 A씨는 지난해 8월 한 커피전문점의 앱을 통해 커피를 주문한 후 사이즈 변경을 위해 바로 취소를 요청했으나, 매장 측은 “음료가 제조되기 전이지만 본사 정책이라 주문변경 및 취소가 불가하다”고 안내했다.

소비자원은 스마트오더 앱으로 주문하는 경우 매장이 주문을 접수하기 전이나 음료를 제조하기 전이라면 소비자가 변경 및 취소를 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이같은 개선 권고에 따라 스타벅스와 투썸플레이스, 메가MGC커피 등 주요 전문점들이 스마트오더 앱 내 주문취소 기능을 마련할 것이라고 회신했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9일 서울의 한 스타벅스 매장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2022.1.9/뉴스1
9일 서울의 한 스타벅스 매장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2022.1.9/뉴스1


한편 국내 커피전문점 매출액이 2019년 11조 700억원에서 2022년 15조 500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국제 원두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커피 시장에 ‘커피플레이션(커피+인플레이션)’이 덮치고 있다.

앞서 지난 8월 커피 가격을 인상한 스타벅스는 지난 1일 비(非) 커피 아이스 음료 11종의 톨(355㎖) 사이즈 가격을 200원씩 인상했다.

주요 커피 산지인 베트남과 브라질 등이 가뭄과 태풍, 고온 등을 겪으며 국제 원두 가격이 급증하면서 우리나라의 커피 수입물가지수는 지난달에 전년 동월 대비 93.5% 치솟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