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금자리 호재로 수도권 상승

보금자리 호재로 수도권 상승

입력 2010-05-31 00:00
수정 2010-05-31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도 6.3% 올라 첫 10억 넘어

올해 개별 공시지가가 상승세로 돌아선 데는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등의 개발 호재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미지 확대
보금자리주택지구가 포진한 수도권이 상승률을 끌어올린 반면 부산·대구·광주 등 지방의 상승률은 평균치에 미치지 못했다.

보금자리주택지구는 시범사업지구가 평균 4.90%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 구로(5.32%), 경기 구리(4.15%), 부천 소사(3.86%) 등 2~ 3차 지구도 사업이 본격화한 지난해 말 이후 크게 올랐다.

이른바 ‘버블세븐 지역’의 개별 공시지가도 희비가 엇갈렸다. 이곳의 개별 공시지가가 평균 4.26% 상승한 가운데 강남(4.85%), 서초(4.72%), 송파(4.55%), 양천(4.43%) 등 서울 4곳과 용인 기흥(2.87%), 성남 분당(3.05%), 안양 동안(1.60%) 등 경기 3곳의 상승 폭은 격차가 컸다.

전국 249개 시·군·구 가운데 246곳이 개별 공시지가가 상승했다. 전국 최저 땅값은 충북 단양군 단성면 양당리 소재 임야로 ㎡당 전년 대비 31원 떨어진 86원이었다. 전국 최고를 기록한 충무로1가 24의2 화장품 판매점 ‘네이처리퍼블릭’ 터(㎡당 6230만원)의 72만분의1에 불과했다.

개별 공시지가 상승률(3.03%)이 지난 2월 말 발표된 표준 공시지가 상승률(2.51%)보다 높은 이유도 관심을 끌고 있다. 이는 개별 공시지가가 표준 공시지가보다 기준이 되는 땅의 면적이 넓기 때문이다. 개별 공시지가 산정의 기준이 되는 개별필지에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 부지, 스키장·골프장 등 레저용지가 포함됐다. 넓은 면적의 토지는 공시지가가 소폭 상승하더라도 해당 시·군·구 공시지가 상승률을 큰 폭으로 끌어올린다.

한편 올해 독도의 공시지가는 6.28%나 올라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섰다. 국토부 관계자는 “일본의 영유권 주장으로 국민적 관심이 더욱 높아졌고, 근해에서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발견돼 경제적 가치가 오른 데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2000년부터 상징적으로 개별지가를 공시해왔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0-05-3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