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전셋값, 7년만에 매매가 60% 넘어

아파트 전셋값, 7년만에 매매가 60% 넘어

입력 2011-11-02 00:00
수정 2011-11-02 09: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세난이 이어지면서 아파트 전세가격이 7년만에 매매가격의 60% 수준까지 올라섰다.

2일 국민은행의 10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은 60.0%를 기록했다.

이는 2004년 7월 60.1%를 찍은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은 지난달 50.5%의 전세가율로 2004년 5월(50.1%) 이후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한강 이북 14개구는 53.2%, 한강 이남 11개구는 48.4%로 조사됐다. 한강 이남 지역의 전세가율은 지난 2003년 5월 49.4%를 기록한 이래 가장 높았다.

경기도는 54.6%, 인천은 49.9%, 수도권 전체로는 52.5%의 전세가율을 각각 기록했다.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중은 수도권에 비해 매매가가 저렴한 지방에서 대체로 더 높은 편이다.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의 10월 전세가율은 부산 66.5%, 대구 70.1%, 광주 74.7%, 대전 67.4%, 울산 71.5%로 수도권 평균을 10%포인트 이상 웃돌았다.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 지방의 지난달 평균 전세가율은 66.7%다. 도별로는 경상북도가 71.7%로 가장 높았고 제주도(69.8%)와 전라북도(69.7%)가 그 뒤를 이었다.

최근 가을 이사철이 끝나면서 전셋값 상승세가 한풀 꺾인 상태지만 매매가격 또한 약세를 보이고 있어 당분간 전세가율은 조금 더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팀장은 “전세가율은 매매와 전세 가격의 상대적 비율이니 전셋값이 더 오르지 않더라도 매맷값이 떨어지면서 좀더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소형주택이 부족하고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는 집주인들이 늘어난다는 점에서 지금은 비수기라도 내년에 전셋값이 조금 더 올라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