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팰리스 ‘굴욕의 땡처리’

타워팰리스 ‘굴욕의 땡처리’

입력 2012-06-04 00:00
수정 2012-06-04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찰… 유찰… 결국 반값 경매로

부동산 침체의 골이 깊어지면서 한때 ‘부의 대명사’로 불린 타워팰리스마저 휘청거리고 있다. 경매시장에서 집값이 반 토막 나는 등 굴욕에 가까운 추락을 보여 이름값조차 제대로 못 하는 상태다.

3일 경매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중앙지법 경매계에서 최저입찰가 10억원에 나온 타워팰리스(전용면적 121㎡)가 단 한 명의 응찰자도 나타나지 않아 유찰됐다. 두 번째 유찰된 이 아파트는 다음 경매에선 규정에 따라 감정가 12억 5000만원의 64%인 8억원에 나오게 된다. 현재 호가만 15억 5000만원으로 사실상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경매시장에서 타워팰리스의 추락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달 29~30일에는 타워팰리스 4가구가 하루에 두 가구씩 경매에 나오기도 했다. 감정가만 50억원이 넘는 전용면적 245㎡대 2가구도 포함돼 있었다. 채무 변제를 위해 경매에 나온 개그맨 심형래씨의 자택(C동 4004호)은 감정가만 53억원에 이르지만 두 차례 유찰된 뒤 34억원까지 값이 떨어진 상태다.

타워팰리스의 일반 시세도 2007년 9월 정점을 찍어 전용면적 165㎡의 매매가가 평균 33억 4000만원에 달했으나 지난 1월 절반 값인 18억 8550만원까지 떨어졌다. 175㎡도 2009년 7월 30억원에 거래됐지만, 올 초엔 23억 8000만원으로 하락했다.

한 경매업계 관계자는 “부동산시장 침체 장기화의 영향으로 경매시장에 나오는 매물이 많아지면서 생긴 현상”이라며 “최근에는 고급 주상복합이 경매로 나와 거의 반값에 낙찰되는 사례가 허다하다.”고 말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6-0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