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 올들어 첫 하락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 올들어 첫 하락

입력 2014-05-14 00:00
수정 2014-05-14 07: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집값 하락에 경매 열기도 주춤…응찰자수도 줄어상가·오피스텔 등 수익형 부동산 인기도 시들

최근 부동산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지난달까지 뜨겁게 달아오르던 부동산 경매 입찰 열기가 이달 들어 한 풀 꺾이는 모습이다.

아파트 등 주거시설을 비롯해 상가·오피스텔 등 수익형 부동산의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하락하고 응찰자수도 감소하고 있다.

14일 법원경매정보회사인 지지옥션에 따르면 5월13일 현재 수도권 아파트의 평균 낙찰가율은 85.6%로 지난달에 비해 0.6%포인트 하락했다.

수도권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올해 1월 82.6%에서 2월과 3월에 각각 83.9%, 4월에는 86.2%까지 올랐으나 이달 들어 처음으로 떨어졌다.

물건당 평균 응찰자수도 6.8명으로 지난달(7.6명)에 비해 0.8명 감소했다.

서울 아파트의 경우 낙찰가율이 지난달 87.3%에서 이달엔 85.4%로 낮아졌고 응찰자수도 6.7명에서 5.5명으로 줄었다.

특히 강남 3구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지난달 93.1%에서 이달엔 81%를 기록, 상대적으로 낙폭이 컸다.

인천지역 아파트 낙찰가율도 전 달(85.7%)보다 감소한 83.6%를 기록했다.

EH경매연구소 강은현 소장은 “이달 들어 수도권 경매 입찰장의 열기가 3∼4월에 비해 못하다는 게 피부로 와닿는다”며 “서울의 중소형 우량 아파트의 경우 지난달까지는 물건당 10여명씩 경쟁이 붙었는데 이달엔 서너명, 적게는 1∼2명 경쟁하는데 그치는 곳이 많다”고 말했다.

이처럼 수도권 아파트의 경매 지표가 꺾인 것은 2·26 임대차시장 안정화 방안 발표 이후 아파트 등 주택 거래량이 감소하고 가격도 약세로 돌아선 영향이 크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집계 결과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건수는 총 8천253건으로 3월(9천477건)에 비해 12.9% 감소했다.

강 소장은 “3월까지만 해도 중소형 아파트의 경우 입찰가격을 감정가의 평균 95%, 최고 98%까지도 써냈으나 이달 들어서는 고가 낙찰 사례가 많이 줄었다”며 “최근 주택시장의 분위기가 경매시장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현상은 연립·다세대 주택도 마찬가지여서 이달 들어 낙찰가율이 67%로 지난달(74.5%)보다 7.5%포인트 하락했다.

주거시설 전체의 낙찰가율은 4월 80.8%에서 5월 현재 80.2%로, 물건당 응찰자수는 6명에서 5.5명으로 각각 감소했다.

임대가 목적인 수익형 부동산도 투자열기가 주춤하다.

상가와 오피스텔의 경우 5월 현재 낙찰가율이 55.5%, 78.9%로 전 월(63.4%, 80.3%)에 비해 각각 7.9%포인트, 1.4%포인트 떨어졌다.

아파트형 공장 역시 지난달에는 낙찰가율이 82.5%를 기록했으나 이달엔 74.9%로 떨어졌고 7.6%포인트 낮아졌다.

지지옥션 하유정 선임연구원은 “최근 집값 하락세가 확산되고 거래량이 줄었다는 지표가 나오면서 전반적으로 경매 투자 열기도 주춤한 모습”이라며 “가급적 고가 낙찰을 지양하고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낙찰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