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장기전세주택 공급 ‘역대 최저’…작년보다 86%↓

서울 장기전세주택 공급 ‘역대 최저’…작년보다 86%↓

입력 2014-09-17 00:00
수정 2014-09-17 13: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동산114 “서울 공공택지 부족이 원인…공급전망 불투명”

올해 서울시 장기전세주택(시프트) 공급량이 2007년 도입 이후 최저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올해 서울의 공급되는 장기전세주택은 842가구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공급량 6천65가구와 비교하면 86%나 감소한 수치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 재임 시절 도입된 장기전세주택은 주변 전세가의 80% 수준에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도록 한 공급 조건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2007년부터 올해까지 27차에 걸쳐 모두 2만6천여 가구가 공급됐다.

부동산114는 장기전세주택이 높은 인기를 끌고 있지만 서울의 공공택지 개발 여력이 크게 줄면서 신규 공급 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공공택지에 공급된 장기전세주택 비중을 살펴보면 2007년 전체 2천16가구 가운데 97%(1천962가구), 2008년 90%(2천354가구), 2009년 70%(2천269가구), 2010년 99%(7천271가구), 2011년 97%(3천429가구), 2012년 84%(706가구), 지난해 88%(5천338가구)로 높은 수준을 이어가다 올해 59%(497가구)로 급감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추가로 개발할 택지지구가 부족한 상황이어서 내년 이후에도 올해보다 공급량이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며 “무주택 수요자라면 신규청약에 대한 기대를 낮추고 재계약 물량 등 틈새시장을 노리는 것도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