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량은 반토막, 미분양은 급증···주택시장 침체 가속화

거래량은 반토막, 미분양은 급증···주택시장 침체 가속화

류찬희 기자
입력 2022-10-31 10:21
수정 2022-10-31 10: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아파트 단지. 올해 1~9월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해 ㄱ샅은 기간보다 70.4% 감소했다. 서울신문 DB
서울 아파트 단지. 올해 1~9월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해 ㄱ샅은 기간보다 70.4% 감소했다. 서울신문 DB
9월 말 누계 기준으로 전국 주택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반 토막으로 감소했다. 미분양 물량은 4만 가구를 넘어섰다. 국토교통부는 9월 말 기준 주택통계를 31일 발표했다.

올해 들어 9월 말까지 주택 거래량은 41만 7794건으로 지난해보다(81만 8948건) 49.0% 감소했다. 수도권은 16만 7057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8.2% 감소했고, 지방은 25만 737건으로 40.2% 줄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량이 24만 3514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5.6% 감소했다. 아파트 외 주택 거래량은 17만 4280건으로 35.5% 줄었다. 지방보다는 수도권, 단독주택보다는 아파트 거래량 감소가 눈에 띄게 나타났다.

특히 서울지역 아파트 거래량은 1만 2722건에 그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4% 급감했다. 5년 평균 거래량과 비교하면 80.5% 줄어들었다. 9월 한 달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856건에 그쳤는데 이는 2006년 1월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최저치다.

전·월세 거래량은 증가했다. 9월 누계 기준 전국 전·월세 거래량은 221만 4166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3% 증가했다.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51.8%로, 지난 4월부터 6개월 연속으로 월세가 전세를 앞질렀다. 올해 들어 9월까지 누계 기준으로는 51.8%로 집계됐다.

미분양 아파트 물량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9월 말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4만 1604가구로 전월보다 27.1%(8882가구) 증가했다. 미분양 증가 추이는 2015년 11월(전월 대비 54.3% 증가) 이후 6년 10개월 만에 처음이다. 9월 전국 미분양은 1년 전(1만 3842가구)과 비교하면 3배 늘었고, 올해 초보다는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수도권 미분양이 7813가구로 한 달 새 55.9%(2801가구) 늘었고, 지방 미분양은 3만 3791가구로 21.9%(6081가구) 늘어났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7189가구나 된다.

장래 주택시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주택 지표도 떨어졌다. 주택 인허가 물량은 1∼9월 38만 200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9% 늘었지만, 수도권 인허가 물량은 13만 1839가구로 28.3% 감소했다. 서울만은 인하가 물량이 3만 2053호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8.7% 줄었다.



주택 착공 실적은 9월 누계 29만 4059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6.1% 줄었다. 같은 기간 아파트 분양실적은 18만 8217가구로 20.1% 줄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