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베일리 국평 전세 23억… 서울 평당 2500만원 넘어

원베일리 국평 전세 23억… 서울 평당 2500만원 넘어

옥성구 기자
옥성구 기자
입력 2025-04-20 18:29
수정 2025-04-21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토허제 재지정에 전세 매물 묶여
1년 전보다 7% 올라… 서초 15%↑
강남 3구·용산 중심 신고가 속출

이미지 확대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을 확대 재지정하며 전세 매물이 대거 묶이자 반포 래미안원베일리 전용 84㎡(25.4평) 전셋값이 23억원에 거래되는 등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서울의 3.3㎡(평)당 전셋값은 2500만원을 넘어섰다.

20일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면적 3.3㎡당 전세 평균 가격은 2519만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2347만원)보다 7.33%(172만원) 오른 가격이다. 2022년 11월 관련 통계 개편 이후 최고치다. 토허제가 풀렸다가 다시 묶인 서초구 아파트의 평당 전셋값은 평균 3580만원에서 4109만원으로 1년 만에 14.78%(529만원) 올랐다.

특히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를 중심으로 전세 신고가가 쏟아지고 있다.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면적 84㎡ 전세는 지난달 24일 23억원에 거래되어 직전 전세 거래가보다 5000만원 올랐다. 강남구 일원동 디에이치자이개포 전용면적 84㎡는 최근 전세 18억 5000만원에 거래되었다. 직전 최고가(17억원)보다 1억 5000만원 높게 체결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토지거래허가제에 따른 실거주 의무가 전세 매물 품귀로 이어진 게 신고가 행진을 불렀다고 분석한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토허제로 갭투자(전세 낀 매매)도 안 되니 전세 물건이 나오지 않고 있다”면서 “서울에서 갑자기 아파트 입주 물량이 대거 쏟아지거나 기준 금리가 급등하지 않는 이상 전셋값은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신규 공급의 씨가 마르고 대출 규제까지 맞물리면서 세입자들이 기존 계약을 갱신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전월세 상한제로 최대 5% 내로만 오르는 기존 계약에 기대는 세입자가 늘고 있다는 의미다. 올해 1~3월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총 3만 5119건 중 1만 4238건(41%)이 갱신 계약이다.
2025-04-2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