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금융 ‘글로벌 협력’

디지털금융 ‘글로벌 협력’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9-06-06 17:52
수정 2019-06-07 02: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라인 앱에서 비자카드 결제 가능…하나은행, 中서 모바일대출 출시

금융사들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고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빅테크’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핀테크(금융+기술) 기업은 금융사와 협력관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금융감독원의 진단이 나왔다.

세계적 결제기술 기업인 비자카드는 6일 “월간 실사용자(MAU)가 1억 8700만명인 라인 애플리케이션(앱)에서 디지털 비자카드에 가입해 결제할 수 있다”면서 “기존 비자카드도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라인페이가 활성화된 나라를 여행할 때 결제가 더 편리해진다. 이날 KEB하나은행은 중국 현지 법인이 전자상거래기업 알리바바의 ‘앤트파이낸셜’과 디지털 모바일 대출 ‘마이지에베이’를 내놨다고 밝혔다. 알리바바의 모바일 지급결제 플랫폼인 알리페이 고객은 500~30만 위안(약 8만 5000~5100만원)을 대출받을 수 있다.

이처럼 금융사는 탄탄한 플랫폼을 갖춘 해외 대형기술 기업과 손을 잡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디지털금융 시대에는 고객과의 접점을 늘리기 위해 ‘좋은 친구’를 많이 사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국내 업체 간 협력도 활발하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17일 한글과컴퓨터와 음성과 문서를 인식하는 인공지능(AI) 등의 연구개발(R&D)과 모빌리티 신사업 발굴 등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네이버 서치앤클로바와 음성 금융거래 등을 위해 연구 중이다.

국내 핀테크 기업들의 성장을 위해서도 금융회사와 협력관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 금융감독원의 판단이다. 이날 금감원은 ‘글로벌 핀테크 10대 트렌드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오픈뱅킹’(공동결제시스템)이 본격 적용되면 은행 등 금융회사는 핀테크 기업과의 협력 확대가 불가피하다”며 “독자 생존을 추구하는 핀테크 기업은 고객 충성도가 높은 빅테크 기업과의 심화된 경쟁에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시장에선 네이버와 카카오 등이 빅테크 기업인데, 신생 핀테크 기업이 독자적으로 이들과 경쟁하기보다는 은행 등 금융회사와 손을 잡고 경쟁하는 게 낫다는 의미다. 다만 금감원은 “금융회사 의존도가 심화되면 중장기적으로 금융시장 경쟁도가 떨어질 수 있다”면서 “확실한 수익 모델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9-06-0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