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기에 고객 지갑 비어간다…4대 은행 잠재 부실 여신 1년 새 13% 늘어

불경기에 고객 지갑 비어간다…4대 은행 잠재 부실 여신 1년 새 13% 늘어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5-02-12 09:55
수정 2025-02-12 09: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3개월 연체 여신 7조 1140억

이미지 확대


돈을 빌린 차주들이 불경기 속 상환 능력을 잃어 가면서 지난해 주요 시중은행의 잠재 부실 여신이 급증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에서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 연체된 요주의 여신은 총 7조 1140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6조 2920억원)보다 8220억원 늘어난 수치로, 증가율이 13.1%에 달한다. 4대 은행 전체 여신 중 요주의 여신이 차지하는 비율도 지난해 말 0.49%로, 전년 말 0.47%에서 0.02% 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하나은행의 증가율이 가장 두드러졌다. 하나은행의 요주의 여신은 2023년 말 2조 460억원에서 지난해 말 2조 4740억원으로 20.9% 뛰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1조 5070억원으로 1년 사이 13.2% 늘었고, 우리은행도 1조 6890억원으로 같은 기간 12.9% 증가했다. 국민은행은 1조 4440억원으로 전년보다 1.8% 정도 늘었다.

은행은 여신을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나눠 관리한다.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 고정이하여신(NPL)에는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여신이 포함된다. 요주의 여신은 부실화 직전 단계로 본다.

고정이하여신 역시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말 4대 은행의 고정이하여신은 3조 9490억원으로 1년 전(3조 3860억원)보다 16.6%(5630억원) 늘었다. 지난해 우리은행의 고정이하여신이 7810억원으로 1년 사이 무려 38.0%나 폭증했고, 하나은행도 같은 기간 16.2% 늘어난 7810억원으로 집계됐다. 4대 은행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25%에서 0.27%로 올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