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3%대 금리 예금 자취 감췄다

은행 3%대 금리 예금 자취 감췄다

김예슬 기자
김예슬 기자
입력 2025-05-14 00:06
수정 2025-05-14 0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빅5 최대 금리 2.55~2.65% 수준
물가 상승 대비 사실상 마이너스

시중은행들의 주요 예금 상품 최대 금리가 2%대 중반까지 낮아지면서 3%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을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이 판매하는 대표 정기예금 상품의 최고 금리가 연 2.6%대까지 내려앉았다. 이날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대표 예금 상품 최대 금리는 2.55~2.65%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는 점을 고려헸을 때 실질 금리는 사실상 마이너스 수준이다.

은행별로 보면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이 연 2.65%, 우리은행의 ‘WON플러스 예금’, 하나은행의 ‘하나의 정기예금’이 각각 연 2.60%로 나타났다. KB국민은행의 ‘KB Star 정기예금’이 연 2.58%, 신한은행의 ‘쏠편한 정기예금’이 연 2.55%다.

하나은행은 이날 수신상품 기본금리를 최대 0.3% 포인트 인하했다. ‘하나의 정기예금’ 등 정기예금 상품 6종과 ‘급여하나 월복리 적금’ 등 적립식예금 상품 8종의 기본금리를 종류와 기간에 따라 0.10~0.30% 포인트 낮췄다.

같은 날 우리은행도 ‘우리 첫거래우대 정기예금’의 기본금리를 0.20% 포인트 내렸다. 지난 3월 0.30% 포인트를 낮춘 데 이어 약 한 달 반 만에 추가 인하한 것으로, 1년 만기 기본금리가 연 2.00%에서 1.80%로 낮아졌다.

시장금리 인하에 따라 예금금리가 거듭 낮아지는 반면 대출금리의 하락은 상대적으로 더딘 모양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지난달 신규 가계대출 기준 예대금리차는 평균 1.472% 포인트로 8개월 연속 벌어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이 큰 만큼 연말까지 1년 만기 기준 예금금리가 2% 초반까지 떨어질 것”이라면서도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기조에 따라 대출금리 인하는 더딜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2025-05-1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