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인사이트] 우리나라 최초 벽돌폰에서 스마트워치까지

[포토인사이트] 우리나라 최초 벽돌폰에서 스마트워치까지

안주영 기자
안주영 기자
입력 2018-07-09 16:00
수정 2018-07-09 16: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국내 최초의 휴대전화로 88올림픽 개막식에 처음 공개된 모델이다. 냉장고폰, 벽돌폰 등 다양한 별칭으로 불렸으며 1989년 5월 부터 공식 발매되었다. 2018.7.9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9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휴대전화 서비스 30년 기념 SK텔레콤 특별전에서 관람객들이 전시품을 구경하고 있다. 2018.7.9안주영기자 jya@seoul.co.kr


2018년 7월 1일은 우리나라에서 휴대전화 통신이 시작된 지 30주년이 되는 날이다.

SK텔레콤의 전신인 한국이동통신이 1988년 7월 1일 아날로그(AMPS: 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방식 기술을 이용해 휴대전화 서비스를 국내에 처음 선보인 이래로, 대한민국은 1996년 세계 최초 CDMA 상용화, 2002년 세계 최초 CDMA 2000 서비스 상용화, 2013년 세계 최초 LTE-A 상용화 등 세계 최초 신화를 쏟아내며 글로벌 IT 선도국으로서 이동통신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을 이끌어왔다.

휴대전화 서비스 첫 해에 784명에 불과했던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1991년 10만 명, 1999년 2,000만 명을 돌파, 2018년 4월 기준으로는 6,460만 627명에 달해 전체 인구수를 넘어선 지 오래다. 1988년 서울 일부 지역의 전세 값과 맞먹는 초고가품이었던 휴대전화는 이제 전 국민의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1987년 모토로라 최초의 한국시장 출시 휴대폰. 가격은 240만원으로 당시 엑셀 승용차 1대 가격이 400만원대였다. 2018.7.9 안주영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1988년 금성(LG) 최초의 휴대폰(카폰). 2018.7.9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벽돌폰 - 좌측 1987년 모토로라 최초의 한국시장 출시 휴대폰 가격 240만원 당시 엑셀 승용차 1대 가격이 400만원대, 오른쪽 국내 최초의 휴대전화로 88올림픽 개막식에 처음 공개 냉장고폰,벽돌폰 등 별칭 1989년 5월 부터 공식 발매되었다. 2018.7.9 안주영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1992년 모토로라 마이크로 텍. 최초의 플립형 전화기이며 219g의 무게로 휴대전화 대중화에 영향을 끼쳤다. 2018.7.9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1993년 모토로라 모델. 무음 및 진동 기능 최초 도입. 2018.7.9안주영기자 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1994년 삼성 SH-770 애니콜 최초 모델로 한국 지형에 최적화 되었으며 해발 1915M 고지에서도 통화가 가능했다. 2019.7.9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1991년 ERICSSON-1811 360도 회전이 가능한 플립안테나 부재중 호출 기능 및 통화중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는 모델. 2018.7.9안주영기자 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1993년 현대전자산업에서 만든 HHP-2200A 초소형 초결량 셀룰러폰 2018.7.9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2002년 1월 28일 세계 최초로 CDMA200 1X EV-DP 상용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삼성 SCH-A790 CDMA(왼쪽)와 GSM로밍을 지원하는 삼성 SCH-E100의 모습. 2019.7.9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2000년 한국이 만든 세계 최초 CDMA200 1X 폰 2018.7.9 안주영기자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2005년 삼성의 히트작 가로본능 디자인에 무선 DMB을 결합한 기종. 2018.7.9 안주영기자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2005년 팬텍 스카이 가로 슬라이딩 다지인으로 DMB, 동영상 시청 효율을 높인 모델. 2018.7.9 안주영기자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2006년 한국이 세계 최초로 만든 HSDPA폰 삼성 SCH-W200. 기존 WCDMA보다 전송속도가 7-10배 빨라 선명한 화질로 영상통화가 가능해졌다. 2018.7.9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2007년 삼성이 만든 블랙잭 폰 2018.7.9 안주영기자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2009년 모토로라 MS500W 2018.7.9 안주영기자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2011년 삼성 SHV-E110S 갤럭시 S2 lte 국내 최초 lte 폰 2018.7.9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미지 확대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포토인사이트] 대한민국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 2017년 에스모바일 위치 폰 2018.7.9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1988년 우리나라에 휴대전화 서비스가 처음 도입된 이후 지난 30년간의 주요한 이동통신 기술 변천사와 미래 5G 통신기술을 압축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린다.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31일까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휴대전화30주년 기념 특별전’을 후원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1G~4G까지 30년간 휴대전화 변천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대표 단말기 120여대가 전시되며, 세계 최초 CDMA 상용화(1996년)와 세계 최초 LTE-A 상용화(2013년) 등 이동통신 30년의 주요 기록들을 전달한다. 2018. 7. 9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