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웨이, 사물인터넷·AI 접목 환경가전 혁신

코웨이, 사물인터넷·AI 접목 환경가전 혁신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8-07-17 16:04
수정 2018-07-17 16: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코웨이의 대표적인 혁신 제품인 시루직수 정수기를 홍보모델이 소개하고 있다. 코웨이 제공
코웨이의 대표적인 혁신 제품인 시루직수 정수기를 홍보모델이 소개하고 있다. 코웨이 제공
1989년 설립된 코웨이는 정수기, 공기청정기 및 비데 등을 생산하는 라이프케어기업으로서 환경가전의 대중화와 전문화, 고급화를 주도하고 있다. 코웨이는 업계 최대 생산시설과 연구개발(R&D)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코웨이는 차별화된 렌털 비즈니스의 성공으로 지난해 기준 약 575만의 렌털 및 멤버십 회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경영방침은 새로운 도전을 만날 때 혁신이 가능하다는 ‘코웨이 트러스트 리블루션’이다. 코웨이의 지난해 매출액은 2조 5168억 원, 영업이익은 4727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달 출시한 시루직수 정수기는 코웨이의 대표적인 혁신 제품이다. 가정용 정수기에 들어가는 필터 중 오염 물질 제거 성능이 가장 뛰어난 RO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면서 물을 바로 뽑아 마실 수 있는 직수 방식을 구현한 국내 최초의 정수기다.

최근 코웨이는 업계를 선도해 사물인터넷·AI를 적용한 혁신 제품을 선보이며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인 ’CES’에서 2016년부터 3년 연속 ‘CES 혁신상’을 수상했다. 또 지난해 4월부터 코웨이 마이한뼘 정수기 IoCare (CHP-482L)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 ‘실버케어서비스’는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8-07-18 4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