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격호 ‘1조 유산’ 분할 합의… 상속세 4500억

신격호 ‘1조 유산’ 분할 합의… 상속세 4500억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0-07-29 17:52
수정 2020-07-30 06: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재산은 신영자·신동주·신동빈 몫
일본 재산은 日국적인 신유미 몫으로

아버지 49재 막재에서 만난 신동주-신동빈
아버지 49재 막재에서 만난 신동주-신동빈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이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견지동 조계사에서 열린 고(故) 신격호 롯데그룹 명예회장의 49재 막재에 참석하고 있다. 2020.3.7
뉴스1
신격호 전 롯데그룹 명예회장의 유족들이 유산 분할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비롯한 4명으로 이들이 앞으로 한국과 일본에 내야 하는 상속세는 약 4500억원 규모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신 전 명예회장의 유산 상속 대상인 신영자 롯데복지재단 이사장,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 신동빈 회장, 신유미 전 롯데호텔 고문 등 자녀 4인은 전날 신 전 회장의 유산을 정리하는 방식에 동의한다고 서명했다. 롯데지주 관계자는 “유족들이 큰 틀에서 합의를 봤다”고 설명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따르면 유족들은 상속인이 사망한 뒤 6개월째 되는 달의 말일까지 상속세를 신고해야 한다. 신 전 명예회장이 지난 1월 19일 사망한 뒤 이달 말일까지 사흘을 남기고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신 전 명예회장의 유산은 약 1조원으로 국내 주식으로는 상장사인 롯데지주(보통주 3.10%·우선주 14.2%), 롯데제과(4.48%), 롯데칠성음료(보통주 1.30%·우선주 14.15%), 롯데쇼핑(0.93%) 등이다. 비상장사인 롯데물산(6.90%) 지분도 있으나 이는 지난 5월 정리된 바 있다. 이 외에 일본 주식으로 롯데홀딩스(0.45%), 광윤사(0.83%)와 인천 계양구의 부동산도 있다.

유족들은 한국과 일본의 재산을 나누기로 했다. 한국 재산은 한국 국적인 신영자 이사장, 신동주 회장, 신동빈 회장이 나눠 갖고 일본 재산은 일본 국적인 신유미 전 고문이 주로 가지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4명이 재산을 아예 똑같이 나누면 세금 등의 비용이 발생하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상속세는 총 4500억원가량으로 한국 재산 상속세는 3200억원, 일본 재산에 대한 상속세는 1300억원 정도로 알려졌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0-07-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