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통 철학’ 녹인 이웅열… 사옥만 쓸쓸히 웃었다

‘심통 철학’ 녹인 이웅열… 사옥만 쓸쓸히 웃었다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0-09-09 22:20
수정 2020-09-10 0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재계 블로그]‘원앤온리타워’ 국제건축대상 수상

이미지 확대
2018년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에 들어선 코오롱 원앤온리타워 전경. 니트 의류를 늘렸을 때 나타나는 직조 무늬 패턴을 모티브로 외관을 장식했다. 코오롱 제공
2018년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에 들어선 코오롱 원앤온리타워 전경. 니트 의류를 늘렸을 때 나타나는 직조 무늬 패턴을 모티브로 외관을 장식했다.
코오롱 제공
최근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에 ‘우주기지’처럼 생긴 10층짜리 건물이 하나 들어섰다.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모양의 이색적인 창문과 기묘한 형태로 된 건물은 길 가던 사람들의 눈길을 빼앗는다. 마곡지구 랜드마크로 떠오른 이 건물은 바로 코오롱그룹의 ‘원앤온리타워’다. ‘유일무이’하다는 뜻의 ‘원앤온리’(One & Only)는 이웅열(64) 코오롱그룹 전 회장의 경영 방침이기도 하다. 건물 이름도 이 전 회장이 직접 지었다.

9일 코오롱그룹에 따르면 이 건물은 지난 8일 미국 시카고 아테니엄 건축디자인박물관이 주최하는 ‘국제건축대상 2020’에서 기업빌딩부문 대상을 받았다. 세계적 권위를 가진 건축계 대표적인 상으로 한국에서는 원앤온리타워가 처음 받았다. 2018년 총면적 7만 6349㎡(약 2만 3095평)에 총 3개 동으로 완공됐다.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미국 건축가 톰 메인과 그가 설립한 건축가 그룹 모포시스가 설계하고 코오롱글로벌이 시공했다.

건물 내부는 ‘사통팔달’ 구조로 돼 있다. 연구동과 사무동 사이 계단으로 된 공용 공간 ‘그랜드 스테어’는 건물 내 모든 층과 연결됐다. 동과 동을 연결하는 내부 통로도 막힘이 없다. 보안이 철저한 다른 대기업의 사무실과 달리 다른 기업 직원들과도 건물 안에서 얼마든지 마주치며 인사할 수 있다.

코오롱그룹은 ‘공간이 조직의 문화를 만든다’는 이 전 회장의 경영철학이 건물에 오롯이 녹아 있다고 했다. 평소 코오롱인끼리의 소통과 협업을 강조한 이 회장의 ‘심통(心通·마음이 통하다) 철학’을 형상화했다는 것이다. 이 전 회장은 2018년 4월 입주 당시 “원앤온리타워는 임직원 모두가 자연스럽게 소통하고 협업하도록 만들어졌다”면서 “코오롱이 융복합 연구개발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성공적인 미래와 연결하는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로부터 7개월 뒤인 같은 해 11월 이 전 회장은 돌연 회장직을 사임하며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원앤온리타워는 이 전 회장이 그룹 총수 시절 남긴 최후의 작품이 돼 버렸다. 코오롱그룹 회장 자리는 2년째 공석이다. 이 전 회장은 지주사인 코오롱의 지분 49.74%를 보유한 것을 비롯해 그룹 최대주주 지위는 유지하고 있다.

이 전 회장이 경영에서 손을 뗀 이후 그가 남긴 건물은 빛을 보고 있지만 정작 자신은 인보사케이주(인보사) 의혹으로 고초을 겪고 있다. 인보사는 코오롱생명과학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다. 이 전 회장은 인보사 성분을 허가받지 않은 다른 성분으로 바꿔 제조·판매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서울중앙지법은 지난 7월 “소명이 부족하다”며 이 전 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앞서 “청년 이웅열로 돌아가 창업의 길을 걷겠다”고 밝혔던 이 전 회장은 스타트업 창업 등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2020-09-1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