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상담 서비스 플랫폼 ‘메타포레스트’를 운영하는 기업 야타브엔터가 국제전문학술지(SCIE)에 메타버스 상담의 보안성 증진 관련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기존 비대면 상담에서 우려됐던 내담자의 얼굴, 목소리 등 개인 정보 공개나, 비언어적 요소의 제한으로 효과적 상담이 어려운 상담자들의 실제 현장 상황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연구를 위해 메타포레스트 플랫폼 내 총 550회의 심리상담이 진행됐으며, 상담 이후 진행된 상담사 만족도 설문 조사에서 5점 만점에 평균 4.6점의 수치를 기록했다.
이미지 확대
메타포레스트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메타포레스트 제공.
호서대 게임소프트웨어 학과 이준 교수 및 육군사관학교 AI데이터과학과 권현 교수는 “최근 MZ세대들의 비대면 상담 선호 현상과 맞물려 개인의 신원 정보 노출을 최소화하는 음성 변조 기반의 메타버스 상담 시스템을 개발했다. 기존 비대면 상담이나 타 메타버스 플랫폼의 경우 내담자의 개인 정보 보안을 강화시키기 위해 아바타를 활용할 수 있었으나, 상담 효과성 측면에서는 상담사가 내담자의 비언어적 단서를 식별하고 분석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메타포레스트 플랫폼 내에서는 실시간 얼굴인식 인공지능 시스템, 아바타 표현 기술을 통해 그 우수성을 입증해 나가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 역시 비대면 상담의 효과 고도화를 위한 중요한 사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야타브엔터 이성찬 대표는 “심리상담에서 그 무엇보다 중요한 사안은 익명성 존중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높은 민감성을 지니는 태도라고 생각한다. 내담자 측면에서는 상담의 보안성을 높이고 상담사 측면에서는 비언어적 요소 파악을 위한 기술 개발에 힘을 더해 누구나 마음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상환경 메타버스 상담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라고 연구 목적에 대한 추가의견을 전달했다.
한편, 야타브엔터는 지난 1월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CES 2024)에 참여, 신한장학재단 및 한국아동복지협회와의 사회공헌 상담 서비스 활동 등을 통해 메타버스 상담의 기술 고도화뿐만 아니라, 사회적 이슈 해결을 위한 활동들을 이어오고 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