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입금 늘리고 가동 줄인 K배터리… R&D로 미래 기술 선점

차입금 늘리고 가동 줄인 K배터리… R&D로 미래 기술 선점

손지연 기자
손지연 기자
입력 2025-05-18 23:56
수정 2025-05-18 23: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분기 3사 차입금 50조원 육박
수요 감소에 공장 가동률 하락
투자는 지난해보다 12.3% 증가
전기차 캐즘 이후 대비에 박차

이미지 확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장기화로 국내 배터리 업계가 올해 1분기 차입금을 늘리고 공장 가동률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허리띠를 졸라매는 동시에 연구개발(R&D) 투자는 늘렸는데,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 캐즘 이후를 대비하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보면 올해 1분기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차입금은 지난해 말(42조 5681억원)에 비해 16.5% 늘어난 49조 6187억원으로 집계됐다. 3개월 만에 차입금이 7조원 이상 불어난 것이다.

3사 모두 지난해 말에 비해 차입금이 증가했다. SK온의 차입금이 지난해 말 15조 5997억원에서 1분기 만에 5조원 가까이 늘어난 20조 3907억원을 기록해 3사 중 가장 많았다.

SK온은 “미국 에너지부의 ‘첨단기술차량제조(ATVM) 프로그램’에 따른 정부 대여금이 6조 3304억원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ATVM 프로그램은 미 정부가 자동차 및 부품 제조 사업에 4%대의 저금리로 자금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17조 6126억원, 삼성SDI가 11조 6155억원이었다. 상대적으로 차입금이 적은 삼성SDI는 대규모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마련할 계획이다. 앞서 삼성SDI는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한 바 있다.

공장 가동률도 내림세다. 올해 1분기 LG에너지솔루션의 평균 가동률은 51.1%로 2023년 69.3%, 지난해 57.8%에 이어 3년째 떨어지고 있다. 삼성SDI의 소형전지 부문 공장 가동률은 지난해 58%에서 1분기 32%까지 떨어졌다. SK온은 지난해와 같은 43.6%의 가동률을 유지했다.

보릿고개에도 업계는 R&D 투자를 늘리며 미래 먹거리를 찾고 있다. 3사의 R&D 투자 비용은 올해 1분기 742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611억원)보다 12.3% 증가했다. 삼성SDI가 매출의 11.2%에 이르는 3570억원을 R&D에 투자해 가장 많았다. 또 3사 모두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도 늘었다.
2025-05-1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