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선 HD현대 회장이 지난 15일 HD현대중공업 울산 조선소를 방문한 대릴 커들 미국 해군참모총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HD현대 제공
한미 관세 협상으로 조선업이 주요 수혜 산업으로 부상한 가운데, 미 해군 최고 지휘관이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을 잇달아 찾아 기술력을 점검했다. 미국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공식 승인한 점도 국내 조선업계에 힘을 싣는 분위기다.
16일 HD현대와 한화오션에 따르면 대릴 커들 미국 해군참모총장은 지난 15일 울산 HD현대중공업과 경남 거제 한화오션 사업장을 연달아 방문해 함정·상선 건조 역량을 직접 확인했다. 한미 관세 협상 조인트 팩트시트에서 조선업 협력 확대가 명시된 직후 이뤄진 행보로, 업계에서는 “미 해군의 실사 성격이 짙다”는 평가가 나왔다.
커들 총장은 먼저 HD현대중공업 방문에서 정기선 HD현대 회장과 만나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 관련 의견을 교환했다. 최근 진수한 최신예 이지스 구축함 ‘다산정약용함’에 직접 승선해 전투체계·운용 능력도 보고 받았다. 내년 진수를 앞둔 이지스 구축함 3번함의 건조 현장 등 주요 함정 생산라인도 참관했다.
한화오션 김희철(앞줄 왼쪽) 대표이사가 대릴 커들(앞줄 가운데) 미국 해군참모총장에게 함정 건조 현장에서 한화오션의 기술력을 소개 하고 있다. 2025.11.16. 한화오션 제공
커들 총장은 한화오션 사업장에서는 회사가 MRO(유지·보수·정비) 작업 중인 미 해군 보급함 ‘찰스 드류함’ 앞에서 대형 조선 인프라를 확인했다. 특히 특수선 공장 내부의 잠수함 건조 현장을 방문해 최근 진수한 3600t급 디젤전기추진 잠수함인 장보고-Ⅲ 배치-Ⅱ 선도함 장영실함도 둘러봤다.
미국이 한국 내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하면서 업계에서는 건조 장소로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의 특수선 야드가 중심이 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핵잠수함 개발의 핵심인 소형 원자로 분야는 국내 기술 기반이 이미 갖춰져 있다는 평가다. 한화오션은 잠수함 23척 건조 이력을 보유하고 있고, HD현대중공업 역시 장보고-Ⅱ급·장보고-Ⅲ급 사업 경험과 해외 잠수함 공동개발 의향서 체결 이력이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