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부랑 할머니 옛말…한국 노인, 20년 전보다 키 크고 날씬

꼬부랑 할머니 옛말…한국 노인, 20년 전보다 키 크고 날씬

옥성구 기자
옥성구 기자
입력 2023-04-06 11:00
수정 2023-04-06 1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0~84세 고령인구의 인체지수 조사
평균 키 남자 165.7㎝, 여자 152.1㎝
비만도 고령자 남자 증가, 여자는 감소
‘바른체형’ 83.4%…자기관리 등 영향

이미지 확대
서울 종로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여유를 즐기고 있다. 2019. 9. 18 정연호 기자
서울 종로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여유를 즐기고 있다. 2019. 9. 18 정연호 기자
우리나라의 노인들이 20년 전보다 키는 더 커지고 비교적 날씬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허리와 등이 곧은 ‘바른체형’도 증가해 전래동요에 등장하는 꼬부랑 할머니는 이제 옛말이 됐다.

산업통상자원 국가기술표준원은 6일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를 열고, 한국인 70~84세 고령인구 인체지수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한국인 고령자의 평균 키는 남자는 165.7㎝, 여자는 152.1㎝였다. 고령자 남자 키는 2003년(162.8㎝)에 비해 2.9㎝ 더 커졌다. 고령자 여자 키는 20년 전 149.4㎝였던 것보다 2.7㎝ 더 커졌다.

몸무게는 2003년과 현재를 비교할 때 고령자 남자는 61.6㎏에서 66.8㎏으로 5.1㎏ 늘었다. 고령자 여자는 55.7㎏에서 56.7㎏으로 1.0㎏ 증가했다.
이미지 확대
한국인 고령자 평균 키 및 몸무게 변화. (자료=국가기술표준원 제공)
한국인 고령자 평균 키 및 몸무게 변화. (자료=국가기술표준원 제공)
비만도는 고령자 남자는 증가했지만, 여자는 감소했다. 평균 체질량지수(BMI)가 남자는 2003년 23.2에서 지난해 24.3으로 늘어난 반면, 여자는 2003년 24.9에서 지난해 24.5로 줄었다. 다만 고령자 남자와 여자 모두 과체중(23~24.9) 범위에 해당한다.

비만인구 비율은 남자는 38.3%, 여자는 42.2%로 전체 측정 대상의 3분의 1 이상이 비만으로 분류됐다. 일반 성인(20~69세)의 경우 남자 비만율이 47.0%로 여자 비만율 22.6%를 크게 웃도는 것과 비교해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체형 변화는 허리가 굽지 않고 바로 선 ‘바른체형’ 비율이 83.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표원은 소득수준 향상과 꾸준한 자기관리 등 영향으로 추정했다. 이 외에 젖힌체형 13.8%, 숙인체형 2.8% 순이었다.

몸통의 납작한 정도를 나타내는 편평률은 남자와 여자 모두 증가했다. 남녀 고령자 모두 어깨는 넓어지고 가슴과 엉덩이 두께가 줄어들며 앞뒤가 납작한 체형으로 변했다.

국표원은 이번 고령자 조사가 휠체어 등 고령자를 위한 이동·이송 용품과 부상방지 패드, 교정기 등 의료·헬스케어 용품 등 고령자에게 적합한 고령 친화 제품과 서비스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미지 확대
지하철 종로5가역에서 한 노인이 계단을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지하철 종로5가역에서 한 노인이 계단을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