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전면 재개 움직임에 뿔난 개미들

공매도 전면 재개 움직임에 뿔난 개미들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2-04-26 20:38
수정 2022-04-27 06: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스피 박스권 속 올 공매도 급증
당국 “새 정부서 조율… 6월 넘길 듯”

동학개미 이미지
동학개미 이미지
국내 증시가 박스권 내 등락을 거듭함에 따라 올해 공매도 규모가 급증하는 가운데 공매도 전면 재개 움직임이 감지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원성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공매도 완전 재개는 차기 정부에서 결정할 사안이라 상반기 내 이뤄질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실제 주가가 내려가면 싼 가격에 다시 사들여 차익을 얻는 투자법이다. 해외 기관투자자들이 공매도에 대거 뛰어들면 주가 하락이 빨라져 사둔 주식이 올라야 이익을 얻는 투자를 주로 하는 개인들의 피해를 키우는 일이 빈번하다.

한국거래소는 26일 장 종료 기준 공매도 거래 대금이 6490억원(전체 거래 대금 대비 약 3.38%)으로 닷새 전에 비해 1692억원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기준 유가증권시장 공매도 잔고는 12조 3279억원으로 공매도가 부분 재개된 지난해 5월 3일(4조 7950억원)보다 약 2.6배 급증했다. 하루 평균 공매도 거래 대금도 올 1분기 5077억원으로 지난해 4280억원 대비 크게 뛰었다.

오는 6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지수 편입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가 그전에 공매도가 완전 재개될 거란 전망이 있었지만 새 정부에서 결정할 사안이라 당분간 전면 재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상반기 중 공매도 완전 재개 조치를 하겠다는 방침이 있었던 건 아니다”라면서 “새 정부에서 적절한 시기를 조율하다 보면 6월 내 결정을 내리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공매도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반감은 더욱 높아지는 추세다. 최근 하락장을 공매도가 더 부추겼다는 의심 때문이다. 개인투자자 모임인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는 지난 4일 외국인과 기관의 공매도 상환 기간을 개인과 마찬가지로 90일로 변경하고 담보 비율 또한 140%로 상향하는 게 필요하다는 제도 개선 제안서를 인수위에 전달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신용도나 재무 능력에 따라 담보 비율을 다르게 조정하고 있어 외국인과 기관의 담보 비율을 개인과 똑같이 두는 건 어렵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2022-04-2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