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서미의 시청각 교실] 우리, 시간 여행자들

[황서미의 시청각 교실] 우리, 시간 여행자들

입력 2021-04-27 16:54
수정 2021-04-28 02: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황서미 작가
황서미 작가
자칭 국가대표급 만두 마니아인 내가 등잔 밑이 어둡다고 동네의 숨은 만두집을 몰라봤다. 그 집을 알게 된 뒤, 계속 하루 이틀 삼삼히 생각나기에 다시 그 만두집에 찾아갔다. 만둣국을 주문하고 기다리고 있는데, 할아버지 세 분이 우르르 문을 열고 들어오신다. 그리고 뒷자리에 자리를 잡으시고…, 그 순간 오랜만에 가동되는 나의 시청각!

“저 누구야, 이상훈이 있잖아.”

“어. 왜, 뭔 일 있어? 풍 한 번 맞고 힘들었잖어.”

“아니, 아니, 뭔 일은 아니고. 이상훈이는 말야, 이렇게 속에다가 극약을 가지고 다녀요. 명대로 끝까지 사는 것도 못 볼 꼴인 거라.”

“죽는 것도 힘들어. 맘대로 못 죽어. 그랬다면 난 버얼써~ 뒤졌지.”

“사람이 건강해야 살맛 나지, 나처럼 다쳐서 장애인이 되면 그게 또 죽을 맛이요.”

병원의 처방전 없으면 수면제 한 알도 못 구하는 약제 관리 철저한 이 시대에, 식당에 앉자마자 극약이라니 이 무슨 이야기인가. 아마도 진짜 약을 구했다는 것이 아니라, 극약을 가슴에 품고 다닐 만큼 살기 힘든 것을 비유한 말씀이리라.

할아버지들의 이 짧은 대화 속에 등장한 분 중 한 분은 풍을 맞으셨고, 다른 한 분은 무슨 까닭인지 장애인이 되셨다. 너무나 뻔한 상상이긴 하지만, 분명히 이 할아버지들은 젊은 시절 당신 몫대로 열심히 살아오셨을 것이다. 열렬히 사랑도 하고, 내가 낳은 자식들 어떻게든 모양 갖춰 키워내려고도 했을 것이다. 내 집 한 칸, 내 땅 한 마지기라도 얻으려 애써 일하던 순간도 쌓여 있으리라. 하지만, 그때는 미래에 닥칠 중풍이나 장애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을 것이다.

지금도 생생한 2002년 월드컵, 나는 20대였다. 그리고 오늘. 순식간에 타임슬립이 된 것만 같은 지난 20년을 돌이켜 보면, 지금은 비교적 젊은 내가 ‘노인’이 되어 가는 시간의 체감 길이가 대번에, 그리고 아주 현실적으로 계산된다. 그들의 괴로운 대화로 내 삶을 비추어 ‘나는 아니겠지’ 따위의 생각은 한 톨도 들지 않았다. 다만 내 그릇에 담긴 하얀 만두를 한술 뜨면서 뒷자리 할아버지들의 내일이 오늘보다는 조금 더 편안하시기를 빌었을 뿐.

그분들 드실 만둣국이 나왔다. 명대로 끝까지 살고 싶지 않으신, 삶이 죽을 맛이라 괴로우신 할아버지 세 분은 좀 전의 성토가 무색하게도 아무 말 없이 만둣국을 맛있게 드신다. 일부러 뒤돌아보지는 않았지만, 드시는 쩝쩝 소리가 참 맛있게 들린다. 누구의 방아쇠에 누가 걸릴지 모르는 거대한 러시안룰렛 판과도 같은 삶에서 뜨거운 만둣국 한 그릇 뚝딱 먹고 다시 의지를 풀 먹여 세울 수만 있다면! 이렇게 시간은 의지와는 상관없이 무심하게 하루 앞으로, 또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덧붙여, 인생 끝자락으로 진입해서 여봐란듯이 훌륭하게 반전을 보여 주며 삶 자체가 드라마가 된, 74세 윤여정 배우의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승전보가 우리 모두에게 할당된 시간의 흐름 속에서 더욱 귀하게 여겨지는 하루다.
2021-04-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