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삼월/이영광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삼월/이영광

입력 2017-03-03 18:02
수정 2017-03-03 18: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광식 ‘Nature-Memory’(162㎝×97㎝, 캔버스에 유채.)
안광식 ‘Nature-Memory’(162㎝×97㎝, 캔버스에 유채.) 대구예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대구가톨릭대학 미술교육대학원 졸업. 2002 대한민국청년비엔날레 작가상 수상.
삼월/이영광

요리사는 참돔의 숨엔 눈길도 주지 않고
살점만 베어낸다 핏기 없는 칼을 닦는다
두 눈을
끔벅거리는
죽은 몸을 담아온다

겨우내 하느님은 차마 칼을 못 쥐더니
횟집 앞 늙은 느티의 검은 살을 쓸고 있더니
한점도 다치지 않고
추운 목숨만
꺼내가셨다

때로는 몸과 목숨이 나뉘어져 있는 거라서 우리는 살아 있어도 죽은 것 같고 죽었어도 살아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나 봅니다. 두 개의 장면이 배치된 이 시는 간단하지만 간단치만은 않은 의미를 품고 있습니다. 목숨만 남긴 것과 목숨만 가져간 것 사이에는 죽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삶과 자연과 그것을 운영하는 자비와 무자비가 뒤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왜 하필 시인은 ‘삼월’이라고 했을까요? 정확한 이유야 알 수 없고 정확히 알아야 할 이유도 없지만 우리가 맞이하는 삼월이 저와 크게 다르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어느 쪽이 살아 있고 어느 쪽이 죽었는지 모를 사람들이 광장을 반으로 나눈 모습을 보았습니다. 삼월의 새순이 어느 쪽을 가려서 피는 것이 아닐 것입니다. 그렇지만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겨울이 지나야 봄이 오는 것처럼 새순은 언제나 내일을 향한다는 것 정도는 말입니다. 저 시가 끝내 세계의 모순과 비극을 품고 있다면 고통스러울지라도 그 죽음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일에서부터 생명은 시작된다는 것을 말입니다.

신용목 시인
2017-03-0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