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화분/유희경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화분/유희경

입력 2017-03-24 17:58
수정 2017-03-24 23: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나에겐 화분이 몇 개 있다 그 화분들 각각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어쩌면 따박따박, 잊지 않고 잎 위에 내려앉는 햇빛이 그들의 본명일지도 모르지 누구든 자신의 이름을 먹고 자라기 때문이다 흠뻑 젖을 정도로 부어주는 물도 그들의 이름일 테지 흠뻑 젖고 아래로 쏟아낸 물을 다시 부어주어도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나는 나의 발을 보았다 거실의 부분, 환하다

누구든 자신의 이름을 먹고 자란다고 하니 시인은 내심 나를 ‘어이, 콩나물국’ 하고 부를지도 모르겠다. 날마다 먹고 보고 쬐고 만나는 것들이 다르니 내 본명도 매일매일 순간순간 바뀌겠지. 오늘은 어디 가서 환한 산수유를 보고 노란 이름 하나 얻으면 좋겠다. 그러면 오래전 구례 산동에 버리고 온 시간이 따박따박 내 발등 위로 떨어지겠지. 산수유였다가 바람이었다가 어느 순간 그리움인 이름들. 흠뻑 젖고 아래로 쏟아낸 물을 다시 붓듯이, 내가 뜨겁게 안았다가 잊고 만 이름들이 내 이름으로 돌아오는 순간들. 그래서 이 시는 아주 소박한 상상에서 시작한 듯하지만 우리 존재의 전부를 거느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나와 산수유와 그리움이 하나의 이름을 얻을 때, 그 순간의 진실들로부터 새로운 세계가 열리기 때문이다. 서로가 자신을 지우고 바꾸고 뒤섞으면서 하나의 몸으로 고통과 슬픔과 쓸쓸함을 감당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기 때문이다. 저 차고 깊은 바닥을 차고 마침내 떠오른 배처럼 이제 갓 화분을 벗어난 맨발을 어디로 옮겨 놓으면 좋을까? 언젠가부터 스스로도 모른 채 심겨져 있던 화분을 양말처럼 벗고 멀리까지 달려가는 꽃들이 보인다.

신용목 시인

2017-03-2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