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단오절/蒼氓人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단오절/蒼氓人

입력 2019-07-04 23:34
수정 2019-07-05 02: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숙자 / 청맥-달개비꽃이 피어 있는(91×116.8㎝, 순지에 암채, 1997)
이숙자 / 청맥-달개비꽃이 피어 있는(91×116.8㎝, 순지에 암채, 1997) 한국화가. 제3회 중앙미술대전 대상
단오절 / 蒼氓人

쟁피 저린 향근 물에
기름머리 공단스리 빗고
자지댕기 궁둥이로 단장한
安東땅이 본인 감나무집 처녀사야

달이 없어도 강둑에 나서면
무지개다리 밟던 노래 못 잊대면서
거네 뛰는 얘기를 곧잘 했다

갈밭같이 헝클어진 머리가
쟁피도 궁둥이도 소용이 없어
米軍이 간대는 소문만 노심이 되어
괴니 서글퍼진 빰빵 가스내사야

요즘은 찦도 퍽 적어졌드라 얘 아이참
그것이 무슨 대단한 이야기처럼 종알대곤
느티나무 그늘에 앉아들 하폄만 뿜는다

******************

단기 4282년(1949년) 10월 육성사에서 출간된 시집 ‘잠자리’에 수록된 시다. 지은이 창맹인은 누구인지 알 수 없다. 시에서는 단오날 창포 대신 쟁피(젠피) 잎에 머리를 감는다. 지리산 자락에 사는 사람들은 추어탕이나 장어탕 먹을 때, 김치를 담글 때 젠피를 넣는다. 해방된 후 우리나라에서 미군의 인기가 크게 좋았다. 시골 아가씨들은 미군이 돌아간다고 노심초사한다. 나라를 해방시켜 주었으니 감사한 마음 크지 않겠는가. 자지댕기는 자줏빛 댕기, 거네는 그네, 빰빵 가스내는 뺨이 통통하고 복슬복슬한 가스내로 읽으면 될 것이다. 2차 대전 직후 미국과 미군은 착하고 순정했던 것 같다. 그 시절의 미국이 그립다.

곽재구 시인
2019-07-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