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안녕 아저씨/임철우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안녕 아저씨/임철우

입력 2019-09-05 17:34
수정 2019-09-06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요배 / 해.풍.홍(80x116.7㎝, 캔버스에 아크릴릭, 2012)
강요배 / 해.풍.홍(80x116.7㎝, 캔버스에 아크릴릭, 2012) 제주의 역사를 화폭에 담는 화가, 옥관문화훈장
안녕 아저씨 / 임철우

오늘밤 우리는 돌담 위에 셋이서 나란히 앉아 있어
이 자리에 걸터앉으면 당신 방 창문이 한눈에 다 들어오지
지금 책상 앞에 앉아 있는 당신의 옆모습 이 창 너머로 빤히 들여다보여
당신은 오늘따라 늦도록 잠자리에 들지 않고 열심히 책을 읽고 있네

난 그 책에 무엇이 씌어 있는지 알고 있어
그건 어떤 섬에 관한 이야기야
난 그 섬을 알아
아직 가본 적도 없으면서 어떻게 아느냐고?
그건 우리가 찾아가야 할 섬 우리가 오랫동안 기다려온 섬이니까
어쩌면 오늘밤 우리는 마침내 그 섬에 도착할지도 모르거든

*** 소설이 시처럼 읽힐 때가 있다. 황순원의 ‘소나기’와 ‘메밀꽃 필 무렵’, 알퐁스 도데의 ‘별 이야기’를 처음 읽던 시절 마음이 뜨거워졌다. 언젠가 이런 아름다운 이야기 한 편 쓸 수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임철우가 제주 4·3사태를 다룬 마음 애틋한 소설 ‘돌담에 속삭이는’을 펴냈다. 그와 나는 동학혁명 60년 뒤의 같은 날 태어난 인연이 있다. 돌담 위에 앉은 세 어린 것의 이름은 몽희 몽구 몽선이다. 토벌대에 숨진 어린 영혼들이 자신들이 살던 돌담 집을 떠나지 못하고, 그 집에 이사 들어온 소설가와 교감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는 제주의 풍광 속에 스민 아픈 역사와 마주치게 된다. 이 슬프고 아름다운 이야기를 제주를 찾는 이들이 읽었으면 싶다.

곽재구 시인
2019-09-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