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로서’와 ‘로써’/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로서’와 ‘로써’/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08-11 19:50
수정 2021-08-12 02: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로서’와 ‘로써’는 쉬운 듯하면서도 헷갈릴 때가 많다. 두 낱말의 발음은 비슷한데 표기는 다르니 어렵게 느껴질 법도 하다. 일반적으로 이 둘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의미’를 따져 봐야 한다.

‘로서’와 ‘로써’는 모두 조사로 전자는 ‘자격’을, 후자는 ‘수단’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그것은 교사로서 할 일이 아니다”, “그는 친구로서는 좋으나 남편감으로서는 부족한 점이 많다”처럼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낼 때는 ‘(으)로서’를 쓰고 “말로써 천 냥 빚을 갚는다”, “쌀로써 떡을 만든다”처럼 ‘수단이나 도구 또는 재료’를 나타낼 경우에는 ‘(으)로써’를 쓴다. ‘로써’를 ‘을 가지고’로 바꿔 써 보고 말이 되면 ‘로써’를, 말이 안 되면 ‘로서’를 쓴다.

‘므로’와 ‘ㅁ으로’도 의미를 따져 구분한다. ‘므로’는 ‘까닭이나 근거’를 나타낼 때, ‘ㅁ으로(써)’는 ‘수단’의 뜻을 나타낼 때 쓰인다.

“상대가 너무 힘이 센 선수이므로 조심해야 한다”, “그는 부지런하므로 성공할 것이다”처럼 ‘까닭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문맥에는 ‘(으)므로’를 써야 하고 “우유 배달을 함으로 학비를 번다”처럼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는 문맥에는 ‘ㅁ으로’를 써야 한다. ‘-므로’는 ‘-므로써’와 같이 쓸 수 없지만 ‘-ㅁ으로’는 “공부하기 좋은 환경을 만듦으로써 도서관이 면학의 열기로 가득 찼다”처럼 ‘-ㅁ으로써’가 가능하다.

2021-08-1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