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의대생 1년 5개월만에 학교 복귀 선언
13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전날 “국회와 정부를 믿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감으로써 의과대학 교육 및 의료체계 정상회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의정 갈등이 표면화됐던 지난해 2월 학교를 떠난 의대생들이 복귀하겠다고 나선 것은 다행스럽다. 의사단체는 물론 의대생과 전공의들까지 현장을 벗어나면서 의료 공백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의대생 단체의 ‘수업 복귀 선언’은 순서가 한참 잘못됐다는 아쉬움을 떨칠 수가 없다. 의사도 되기 전에 직역이기주의에 휘둘린 것을 반성하고 국민에게 사과하는 태도를 먼저 보여야 도리다.
의대생 성명에는 국회 교육위원회와 보건복지위원회, 대한의학협회도 참여했다. 복귀에 따른 제도적 걸림돌을 해소하기 위한 물밑 합의가 이미 상당 수준 이뤄졌다는 뜻이다. 내년도 의대 입학정원을 증원 이전으로 되돌린다는 정부 방침은 지난 2월 공표됐다. 당시는 아무런 반응도 없었던 의대생들이 뒤늦게 복귀를 말하고 있다. 구체적인 휴학 및 제적 조치가 임박하자 개인적 불이익은 회피하겠다는 또 다른 이기주의의 발로일 것이다.
1년 5개월이나 학교를 떠나 있던 의대생들을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복귀시키는 것은 정의라고 할 수 없다. 이들이 정상적으로 교육 과정을 이수한 의대생들과 똑같은 시기에 졸업한다면 형평에 맞지 않음은 물론 특혜 비판도 피해 갈 수 없다. 실제로 의료 대란의 가장 큰 피해자인 환자와 가족들은 정부가 국민의 상식에 반하는 결정이나 합의를 해선 안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금 다수 국민의 정서는 학교를 무단으로 떠났던 의대생들은 자신들의 행동에 어떻게든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특혜를 주는 방식이 아니라 국민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휴학 의대생들의 공백을 메우는 교육 과정을 마련해야 한다. 의대생들은 학칙에 없는 교육 과정을 이수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국민이 부여한 혜택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깨닫고 학업에 정진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동안 강압으로 학우의 수업 참여를 막았던 세력이 복귀 이후 마치 영웅이나 된 듯 더 큰 목소리를 내는 부조리는 더더욱 없어야 한다.
2025-07-1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