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 한줄] ‘문화독립운동가’ 간송의 유산/이순녀 선임기자

[책 속 한줄] ‘문화독립운동가’ 간송의 유산/이순녀 선임기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5-26 22:50
수정 2020-05-27 02: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1930년대, 세상은 그렇게 돌아가고 있었다. 친일파는 계속 늘어났다. 심지어는 3·1 만세 운동 때 독립선언서를 기초한 육당 최남선까지 친일로 돌아서지 않았는가. 전형필은 애써 고개를 저었다. 그리고 민족의 문화를 지키는 일이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독립운동이라는 생각을 다잡았다.(218쪽)

스물네 살 청년이 물려받은 재산은 막대했다. 800만평 논에서 나오는 한 해 수입이 기와집 150채 값이었다. 일제 강점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암담한 시대. 전형필은 스승 고희동과 위창 오세창, 외종 형 월탄 박종화의 조언에 따라 민족의 예술혼이 응집된 문화재 수집에 전 재산을 바쳤다. 문화독립운동 유산은 그의 호를 딴 간송미술관에 오롯이 남았다. 수천점 간송 컬렉션 가운데 보물로 지정된 금동불상 2점이 오늘(27일) 경매에서 새 주인을 찾는다. 재정난 때문이라니 안타깝다. 이충렬이 쓴 ‘간송 전형필’(김영사)을 다시 읽는다.

coral@seoul.co.kr
2020-05-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