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통일부가 주최한 ‘탈북민취업박람회’가 열렸다. 현장을 찾은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탈북자들과 간담회도 가졌다. 이 자리에서 한 취업준비생이 “공기업에서 탈북민들을 1명씩 채용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노력해 달라”고 건의했다. 그러자 류 장관은 “통일부 정책으로 반영하겠다”고 호응했다. 또 다른 참석자가 화색을 띠며 “이 문제를 국무회의에 의제로 올리고 대통령께도 건의해 보면 어떻겠느냐”고 다시 제안했다. 류 장관은 당황한 듯 잠시 머뭇거리다 “그것은 ×××해서 어렵고 또 ××× 해서 안 된다”고 발뺌을 했다. 당초의 호응과는 달리 ‘못한다’는 이유만 줄줄이 열거했다.
이미지 확대
문경근 정치부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문경근 정치부 기자
결국 탈북민의 취업을 위해 마련된 자리는 이렇다 할 소득 없이 끝났다. 한 간담회 참석자는 “집은 멀지만 장관을 만나면 뭔가 다를 줄 알고 왔는데…”라며 아쉬움을 표시했다.
류 장관의 고민도 이해되는 부분이 있다. 다른 부처와 협의 없이 탈북민 취업을 마음대로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문제는 그동안 통일부가 탈북민 정착 업무를 수행하는 것 자체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는 점이다. 북한의 대남 접촉 창구인 통일부가 탈북민 문제를 담당하는 것이 자칫 대북협상에서 북한이 남측을 비난할 구실을 만들어 주는 것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주장이 제기될 때마다 통일부는 “탈북민에게 애정을 가지고 정착 지원 업무를 수행할 조직은 통일부밖에 없다”는 주장을 펴 왔다. 하지만 현장을 지켜본 기자로서는 현 정부 내 통일부의 위상을 감안할 때 탈북민 정착 지원 업무를 보건복지부나 행정자치부로 이전하는 것이 차라리 낫다고 본다.
‘남아일언 중천금’이란 말이 있다. 류 장관에게는 탈북민 취업을 정부 정책으로 반영하겠다는 말이 립서비스일지 몰라도 탈북민에게는 잠시나마 큰 희망을 주는 말이었다. 그래서 실망도 컸다.mk5227@seoul.co.kr
2014-11-2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