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가 있었는데 아빠가 없다. 지난해 12월 25일까지 아빠가 있었는데 26일부터 아빠가 없다. 2020년 6월부터 매달 병원비를 내게 하는 아빠가 있었는데 2025년 1월부터 더는 병원비를 내게 하는 아빠가 없다. 79세의 아빠가 있었는데 80세의 아빠가 없다. 아빠가 없다는 걸 나날이 알아가는 하루하루로 나는 지금 있다. 나의 있음으로 아빠의 없음을 매일매일 조금씩 확인해 가는 그날그날로 나는 지금 쓴다. 하여 이즈음의 내게 쓴다는 건 어떤 의미려나.
상갓집 신발장 앞에서 벗어 든 구두를 어느 칸 어떤 자리에 놓을까 위아래로 빠르게 훑는 순간, 손에 들린 신이 전과는 다른 무게로 그 좁은 폭으로 일평생 나를 업어온 게 아닌가 깨닫는 순간, 우리들의 예 있고 없음은 예의 신 하나에 가늠이 되고 가름이 되는구나 눈뜨는 순간, 하여 이즈음의 내게 쓴다는 건 ‘몸’이 아니려나. 우리집 신발장 앞에서 운동화 고르는 일에 더없이 신중해지는 가운데 산책 사이사이 자꾸만 풀어지는 운동화 끈을 쪼그려 앉아 묶기를 반복하는 가운데 나는 신으로 땅을 쓰는 일로 말미암아 쓰기란 결국 걷기 아니려나 얼핏 느껴버린 듯도 하다.
걸으니까 영하 14도에 얼어붙은 눈의 딱딱함을 내 발바닥이 안다. 걸으니까 태권도장 학원 버스에서 내리는 한 아이의 패딩점퍼 버튼 사이 삐쭉 삐져나온 허리띠의 색을 내 눈이 안다. 걸으니까 횟집에서 낮술 자시고 나와 멱살잡이하나 싶더니 이내 어깨동무하고 걸어가시던 두 어르신의 정치색을 내 귀가 안다. 걸으니까 까치 우는 소리에 하늘을 올려다보다 구름이 그 위에 얼마나 얇게 발라져 있는 크림치즈인지 내 허리가 안다. 걸으니까 기사식당 문틈으로 연기와 함께 비어져나오는 뽀얀 밥냄새와 울퉁불퉁 찌그러진 양은냄비에 넘칠 듯 담긴 부대찌개의 손맛을 내 코가 안다. 걸으니까 침대 밖으로 단 한 발 내딛는 게 소원이라더니 끝내 아빠의 유언이 되고 만 아빠의 일기를 내 마음이 아는 것이다.
다들 어떻게 을사년 푸른 뱀의 해를 시작하셨는지 모르겠다. 날름날름 뱀이 삼킨 것도 아닌데 나의 1월은 어디로 갔나 모르겠다. 누구처럼 남 탓은 안 하고자 내 탓이오, 내 탓이오, 내 큰 탓이로소이다, 일단은 내 가슴을 치는 난데 그것이 맞는지도 모르겠다. 여길 틀어도 저길 틀어도 혀들 쉴 새 없이 놀리느라 바쁘신 분들, 모르긴 몰라도 히터 빵빵 나오는 차에서 얼마나 자주 내려보실까 모르겠다. 당신들 신이 얼마나 깨끗한지 모르겠다. 당신들 만보기가 하루 얼마의 수치를 기록하는지 모르겠다. 다만 걸으니까 신이 닳는다는 거, 걸으니까 새 신을 사려고 기웃거리게도 된다는 거, 걸으니까 신발가게를 찾아 길에서 두리번거리게도 된다는 거, 걸으니까 사방팔방 신발가게가 몇이나 되는지 셈하게도 된다는 것, 걸으니까 신을 신은 개와 산책하는 사람의 신도 자세히 보게 된다는 것, 그러니까 신에 대한 관심이 참도 깊어진다는 것! 귀신은 그리기 쉬우나 개는 그리기 어렵다고 한 한비자의 말을 왜 올해의 화두로 삼았는지 그건 모르겠다고 안 하겠다.
김민정 시인·난다출판사 대표
상갓집 신발장 앞에서 벗어 든 구두를 어느 칸 어떤 자리에 놓을까 위아래로 빠르게 훑는 순간, 손에 들린 신이 전과는 다른 무게로 그 좁은 폭으로 일평생 나를 업어온 게 아닌가 깨닫는 순간, 우리들의 예 있고 없음은 예의 신 하나에 가늠이 되고 가름이 되는구나 눈뜨는 순간, 하여 이즈음의 내게 쓴다는 건 ‘몸’이 아니려나. 우리집 신발장 앞에서 운동화 고르는 일에 더없이 신중해지는 가운데 산책 사이사이 자꾸만 풀어지는 운동화 끈을 쪼그려 앉아 묶기를 반복하는 가운데 나는 신으로 땅을 쓰는 일로 말미암아 쓰기란 결국 걷기 아니려나 얼핏 느껴버린 듯도 하다.
걸으니까 영하 14도에 얼어붙은 눈의 딱딱함을 내 발바닥이 안다. 걸으니까 태권도장 학원 버스에서 내리는 한 아이의 패딩점퍼 버튼 사이 삐쭉 삐져나온 허리띠의 색을 내 눈이 안다. 걸으니까 횟집에서 낮술 자시고 나와 멱살잡이하나 싶더니 이내 어깨동무하고 걸어가시던 두 어르신의 정치색을 내 귀가 안다. 걸으니까 까치 우는 소리에 하늘을 올려다보다 구름이 그 위에 얼마나 얇게 발라져 있는 크림치즈인지 내 허리가 안다. 걸으니까 기사식당 문틈으로 연기와 함께 비어져나오는 뽀얀 밥냄새와 울퉁불퉁 찌그러진 양은냄비에 넘칠 듯 담긴 부대찌개의 손맛을 내 코가 안다. 걸으니까 침대 밖으로 단 한 발 내딛는 게 소원이라더니 끝내 아빠의 유언이 되고 만 아빠의 일기를 내 마음이 아는 것이다.
다들 어떻게 을사년 푸른 뱀의 해를 시작하셨는지 모르겠다. 날름날름 뱀이 삼킨 것도 아닌데 나의 1월은 어디로 갔나 모르겠다. 누구처럼 남 탓은 안 하고자 내 탓이오, 내 탓이오, 내 큰 탓이로소이다, 일단은 내 가슴을 치는 난데 그것이 맞는지도 모르겠다. 여길 틀어도 저길 틀어도 혀들 쉴 새 없이 놀리느라 바쁘신 분들, 모르긴 몰라도 히터 빵빵 나오는 차에서 얼마나 자주 내려보실까 모르겠다. 당신들 신이 얼마나 깨끗한지 모르겠다. 당신들 만보기가 하루 얼마의 수치를 기록하는지 모르겠다. 다만 걸으니까 신이 닳는다는 거, 걸으니까 새 신을 사려고 기웃거리게도 된다는 거, 걸으니까 신발가게를 찾아 길에서 두리번거리게도 된다는 거, 걸으니까 사방팔방 신발가게가 몇이나 되는지 셈하게도 된다는 것, 걸으니까 신을 신은 개와 산책하는 사람의 신도 자세히 보게 된다는 것, 그러니까 신에 대한 관심이 참도 깊어진다는 것! 귀신은 그리기 쉬우나 개는 그리기 어렵다고 한 한비자의 말을 왜 올해의 화두로 삼았는지 그건 모르겠다고 안 하겠다.
김민정 시인·난다출판사 대표
김민정 시인·난다출판사 대표
2025-02-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