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성만 서울시 노동민생정책관
서울시도 이러한 요구에 답하고자 2012년 노동존중특별시를 정책 방향으로 내세우고 시민의 삶을 바꾸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다.
2017년에는 그간의 정책 성과를 국제적 시각에서 공유하고자 도시에 특화된 노동정책 공론 장인 ‘좋은 일자리 도시 국제포럼’을 주최했다. 첫 포럼에서 가이 라이더 국제노동기구(ILO) 사무총장과 도시대표단은 노동정책이 더이상 경제정책의 종속 변수가 돼서는 안 되며, ‘더 많은 일자리’를 넘어 ‘더 나은 일자리’로 나아가자는 뜻을 담은 ‘서울선언’을 발표했다.
지난해엔 도시노동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좋은 일자리 도시협의체’ 구성을 결정했다.
올해도 서울에서 12월 3~4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일’을 주제로 국내외 40여개 도시가 참여하는 국제포럼이 열린다. 올해는 ILO가 창립된 지 100주년이 되는 해로 도시정부 시각에서 대안과 돌파구를 찾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지난해 논의된 ‘좋은 일자리 도시협의체’ 창립총회도 함께 개최된다. 이 협의체는 노동 분야 최초의 도시 간 국제기구로 그동안 국가를 상대로 협력했던 ILO가 도시정부의 중요성에 공감해 협의체 구성을 공식 지지했다.
더구나 서울 주도로 국제기구가 설립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하겠다. 협의체는 ILO 좋은 일자리 요건에 기반을 둔 도시노동모델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정책 공유로 다가올 일의 미래에 대비하는 것을 목표로 내년부터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노동의 미래는 또 변화를 거듭할 것이다. 그러나 미리 준비하고 고민하는 도시에 미래는 다가오는 위기가 아닌 변화의 기회가 될 것이다. 이제 서울시는 더 나은 노동의 미래를 위해 전 세계 도시정부와 손을 잡고 노동자의 삶과 가치를 바로 세울 수 있는 더 큰 걸음을 내딛고자 한다.
2019-11-2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