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과학 따라잡기] 꿈의 영상, 홀로그램/황치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요즘 과학 따라잡기] 꿈의 영상, 홀로그램/황치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입력 2020-07-20 20:14
수정 2020-07-21 03: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고화질 콘텐츠 핵심기술

국내 연구진이 인치(in)당 픽셀을 2만 5000개씩 만들어 8K 대비 250배 더 선명한 홀로그램 구조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초고화질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핵심기술로 활용될 것이다.

홀로그램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복잡한 렌즈 같은 광학 장치가 필요했다. 이번 기술은 광학 장치 없는 화면에서 직접 홀로그램 영상을 볼 수 있다. 화질을 크게 높이고 시야를 보다 넓히기 위해선 빛을 조절하는 액정의 화소 크기를 줄이는 게 관건이다. 화소 크기가 빛의 파장 정도 수준까지 줄어들어야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연구진은 화소의 크기를 작게 만들기 위해 화소 내 구성을 기존 평면 방식에서 벗어나 수직으로 쌓아 올려 화소 간격을 1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수직 적층형 박막트랜지스터(VST) 구조로 기존 평면 방식 대비 3분의1로 줄인 것이다. 이로써 세계에서 가장 작은 1㎛ 화소가 탄생했다. 특히 기존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픽셀 피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특정 각도에서만 보던 홀로그램의 시야각도 30도로 크게 늘렸다. 1.3인치 크기 패널을 사용해 5100만개 픽셀로 사람이 걸어가는 홀로그램 동영상을 시연하기도 했다.

이 기술은 보다 자연스러운 홀로그램과 초고화질 영상 콘텐츠를 즐기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패널 구현도 더욱 빨라져 방송이나 스포츠 중계,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0-07-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