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비워야 함께 산다/성전 스님 천흥사 한주

[시론] 비워야 함께 산다/성전 스님 천흥사 한주

입력 2019-05-27 20:42
수정 2019-05-28 00: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성전 스님 천흥사 한주
성전 스님 천흥사 한주
화분이 하나 생겼다. 그 향기가 감미롭다. 가만히 앉아 그 향기에 취했다. 화분을 차 탁상에 놓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차를 마시러 오는 분들이 차 향뿐만 아니라 ‘백화등’의 향기까지 느낄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차 탁상에 널려 있는 다구와 잡다한 것들을 대충 밀고 탁상 가운데 화분을 두었다. 영 산만했다. 마치 탁상 위 온갖 잡다한 것들이 향기를 교란하는 것만 같았다. 안 되겠다 싶었다. 화분을 위해서는 여백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탁자 위에 놓인 잡다한 것들을 다 다른 곳으로 이사시켰다. 고요해진 탁자 위에 화분을 놓았다. 백화등의 은은한 향기가 고요를 타고 내게 잔잔하게 다가왔다. 흐뭇했다. 이 텅 빈 여백이 주는 즐거움을 화분과 나는 공유했다. 비움의 즐거움에 먼 곳의 도반을 생각하며 글을 썼다.

“차 탁자에 화분을 들이기 위해 탁자를 온통 비웠다. 탁자를 텅 비우고서야 화분이 비로소 자리를 잡았다. 텅 빈 탁자 위를 백화등이 향기로 채운다. 아이를 어린이 집 차에 태우기 위해 아이를 등에 업고 어머니가 달린다. 아이 하나를 업기 위해 어머니는 온통 등을 비웠다. 아이는 그 텅 빈 등에 올라 환하게 웃는다. 도를 묻는 선객에게 조주는 차나 마시라고 했다. 비우면 답은 스스로 떠오르는 것. 봄이 오면 절로 꽃이 피듯이. 인생을 알기 위해 가슴 가슴을 비웠다. 그 빈자리로 해가 떠오르듯 인생이 떠올랐다. 찡그리지도 않고 아프지도 않고 환하게 웃고 있었다. 그 전에는 보지 못했던 인생의 얼굴이었다. 환하게 웃는 얼굴이었다.”

비움은 참 좋은 것이다. 비움은 곧 아름다운 채움이 되기 때문이다. 나무와 나무 사이의 간격을 봐라. 그 간격은 나무가 스스로를 비운 자리다. 그 간격이 있어 나무는 함께 성장하고 숲을 이룬다. 잔잔한 바람이 부는 날 숲들의 합창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세상은 비우지를 못해 늘 부딪치는 파열음이 넘친다. 내가 나를 비우지 못하므로 너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너와 나 사이에 간격이 없다. 사용자와 노동자 사이에 간격이 없고 여당과 야당 사이에도 간격이 없다. 밀치고 밀며 서로가 옳다고 주장하는 그 자리에서 발전과 공생은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다.

이미 열반에 든 오현 스님이 편저한 ‘선문선답’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행자가 법사를 따라 법당에 들었다. 법당에 든 행자가 절은 하지 않고 부처님을 향해 침을 뱉었다. 깜짝 놀란 법사가 행자를 엄하게 꾸짖었다. 그러자 행자가 법사에게 말했다. 부처님 안 계신 곳을 일러 주면 거기에다 침을 뱉겠다고. 법사는 아무 말도 할 수가 없었다. 그 이야기를 듣고 앙산 선사는 껄껄 웃으며 말했다. “그때는 행자의 얼굴에 침을 뱉으며 행자가 없는 곳을 알려 달라고 했어야지.”

정치권에 막말이 난무한다. 마치 법당에 들어 침을 뱉는 행자의 행태와도 같다. 다 국민을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그러다 그 얼굴에 행자처럼 침을 맞게 될지도 모른다. 법사를 희롱하며 법당에 침을 뱉은 행자는 눈 밝은 선승을 만나면 그 얼굴에 잔뜩 침 세례를 받게 될 테니까.

막말은 국민을 희롱하는 것이다. 정치인은 국민이 만들어 준 무대 위에서 연기를 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감동을 주어야 할 배우가 관객인 국민을 희롱해서야 되겠는가. 존재감을 위해서 혹은 지지층 결집을 위해서 내뱉는 막말들에 국민들이 얼마나 불쾌해하고 있는지 그들은 알까. 국민은 ‘앙산’과 같이 눈 밝은 사람들이라는 것을 그들은 모르고 있는 것만 같다.

비우면 말이 고와진다. 말이 고와지면 꼬인 정국이 순리대로 풀린다. 당리당략이나 헛된 존재감의 기대를 비우게 되면 그 자리에 국민이 자리하게 된다. 그때 비로소 정치는 예술이 된다. 비워야 한다. 그래야 함께 살 수가 있다. 이 얼마나 간단한 말인가. 그러나 이 얼마나 어려운 실천인가.

탁자에 화분 하나만 놓아 두고, 나는 화분을 보기보다는 여백을 보기를 즐긴다. 텅 빈 공간을 보고 있으면 그것이 화분을 살리는 더없이 좋은 바탕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정치인들의 가슴속에서도 국민이 저 화분처럼 살아나야 하지 않을까. 그러자면 마음을 비워야 한다.

비워야 함께 살 수 있다는 것을 이제는 좀 배우고 살았으면 좋겠다. 그래야 우리 사는 나라가 정말 자랑스럽고 사랑스러운 나라가 되지 않겠는가. 사랑하고픈 나라를 마음껏 사랑하고자 하는 마음들이 더이상 상처받지 않았으면 좋겠다.
2019-05-2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