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국제연합(United Nations)은 지금은 대부분 ‘유엔’이라고 적지만 머리글자를 딴 ‘UN’으로 줄었었다. 미국의 경제신문 월스트리트저널(The Wall Street Journal)도 머리글자를 따서 ‘WSJ’로 줄였다. 그들이 줄인 방식과 결과를 그대로 따른 것이다. 새삼 고민할 필요 없이 이미 줄인 말을 사용하는 편리함이 있었다.
국제기구나 외국 신문 이름, 외국어를 번역한 용어들의 줄임말은 이렇게 로마자로 적는 게 대세가 됐다. 굳이 이렇게 줄일 필요가 있을까 싶은 용어여도 대세 앞에 방향을 바꾸지 못했다. 한쪽에선 이것이 하나의 규범처럼 자리를 잡아 가고 있다. 인공지능을 가리키는 AI가 조류인플루엔자의 AI와 헷갈릴 수 있어도 AI다. 상식적으로는 ‘인공지능’을 그대로 사용하는 게 나은데도 그런다. 로마자 줄임말식 표기가 규범처럼 작동하는 상황에선 달리 가는 게 어려워 보인다. 일부 회사나 단체들도 자신들의 이름을 이런 방식으로 줄인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KAI, 한국토지주택공사는 LH, 한국야구위원회는 KBO다. 한국항공우주산업과 KAI가 같은 회사인지 모를 수도 있다. 한국어 줄임말은 보이지 않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언론매체에 처음엔 ‘월스트리트저널’(WSJ)처럼 적힌다. 이후 문장부터는 ‘WSJ’다. 월스트리트저널과 WSJ를 잘 아는 독자는 괜찮겠지만 그렇지 않은 독자는 다시 알아봐야 한다. 읽는 것에 대한 부담도 있다. ‘더블유에스제이’로 대부분 읽겠지만 눈으로만 보고 넘어가는 이들도 있다. KAI는 헷갈린다. ‘케이에이아이’인지, ‘카이’인지.
로마자 줄임말은 애초 공간의 협소함을 극복하고, 경제적 효율성을 가져오려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그렇지만 수없이 늘어나면서 전달력이 떨어져 간다. 예전의 상황에나 맞는다. 규범처럼 대할 일이 아니다. 계속 가져가는 건 소비자와 독자들의 바람과 다른 방향이다. 길을 다시 찾는 게 좋겠다.
2021-11-01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