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버드나무/이춘규 논설위원

[길섶에서] 버드나무/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0-12-13 00:00
수정 2010-12-13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파가 몰아친 휴일 아침 거실에서 바라본 아파트단지 공원. 앙상해진 나무들 사이의 큰 버드나무 두 그루에 눈길이 꽂힌다. 여전히 잎사귀들이 푸르다. 강추위 속의 푸름이 경이롭다. 몇해 전부터 이맘때면 관찰해 온 그대로다. 초겨울 매운 한파를 잠시나마 잊게 해준다.

이뿐인가. 버드나무는 봄의 전령사다. 다른 나무들은 나목으로 있을 때 부지런히 연녹색 새싹들이 고개를 내민다. 이처럼 질긴 버드나무지만, 가지는 축 늘어져 약해 보인다. 휘어지긴 해도 쉽게 부러지지 않는다. 이웃 일본사람들은 설날 음식 오세치요리를 버드나무로 만든 젓가락으로 먹는다. 버드나무처럼 강인하게, 새로운 해를 탈 없이 보낼 수 있게 해달라는 기원이 담겨 있다고 한다.

버드나무는 번식력도 강해 일찍부터 억센 생명력의 상징이었다. 겉으로는 부드럽지만 실은 강한 버드나무. 조화로움이 돋보인다. “겉으로 부드럽다고 사람을 가볍게 대하면 안 된다.”는 웃어른들의 일깨움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본다.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0-12-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