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세상의 진달래꽃/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세상의 진달래꽃/문소영 논설위원

문소영 기자
입력 2015-04-03 00:28
수정 2015-04-03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월을 여는 첫날이자 만우절에 거리를 어슬렁거리는데 울긋불긋 봄꽃들이 만개해 맑은 시야에 와락 들어왔다. 아파트 담벼락으로 개나리가 노란 폭포수를 이루고 있고, 목련도 크고 넓은 흰 꽃봉오리를 활짝 열었다. 가로수 벚꽃들도 연분홍색 꽃망울을 잔뜩 올린 모습이 겨울을 잘 견디어 대견했다. 그저 세상은 꽃샘추위에 시달리고 황사처럼 누렇고 침침할 따름이었는데 겨우 하룻밤 만에 화사하게 변한 꽃나무들의 모습에 감탄사도 못 내뱉고 마냥 입만 벌리고 있었다. 그 전날 3월을 마감하는 봄비 덕분이었나! 수십 년 만에 최악의 가뭄이라더니 꽃나무들도 봄비를 애타게 기다렸던 게다.

개나리꽃을 찍는 등 해찰하며 출근하는데 공원에 핀 진달래꽃 앞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으로 보이는 남자아이가 똑같이 머뭇머뭇 등굣길에 해찰하고 있다. 옆으로 스쳐 지나갈 때 보니 진달래꽃을 뜯어 만지작거린다. 아파트 주변에 5월에 만개하는 철쭉꽃은 많아도 진달래꽃은 산속이 아니면 보기는 쉽지 않은데 그 꼬맹이도 그걸 직감했나 보다. 문득 고등학교 가정 실습시간에 만든 하얀 찹쌀 지짐이에 분홍 진달래꽃을 넣은 화전이 먹고 싶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5-04-0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