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두고 온 민들레/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두고 온 민들레/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5-08-06 18:02
수정 2015-08-06 18: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바닷가 양지바른 둔덕에 민들레가 지천이다. 나부죽이 엎드려 너풀너풀 해풍을 탄다. 얼마나 오래 사람 손을 타지 않았던지 이파리가 여간 실팍하지 않다. 바닷가 땅에 농약 한 점 스쳤을 리 없고. 호젓한 휴가지에서 하마터면 소리칠 뻔했다. “심봤다!”

몸에 좋다는 야생 민들레는 귀하신 몸이다. 우리 시골집 마당에서도 대접이 극진하다. 바람결에 묻어온 씨가 어느 해 되퉁스레 눌러앉았다. 갈라진 양회바닥 틈에 까치발로 들어선 모양이 신통했던 데다 제 발로 떼 지어 찾아오니 기특했다. 어느새 무공해 6년근.

외지 사람들이 귀신처럼 두어 번 훑고 가면 시골 들산은 거짓말같이 다 털린다. 사방에 널렸던 잡초들이 간데없다. 쇠비름, 씀바귀, 할미꽃 등속. 보약이라니 씨 마르는 산야초들이다.

염치를 뭉개고도 끄떡없는 것은 사람 욕심. 재벌 형제의 싸움이 목불인견(目不忍見)이다. 차마 눈 뜨고 봐줄 수 없는 것과, 아무리 눈 크게 떠도 볼 수 없어진 것들. 욕심 찬 마음은 연못의 물도 끓이고, 텅 비운 마음은 무더위 속에도 서늘하단다. 채근담에 돈 안 드는 피서법이 있었다. 그래 놓고 나는 아직 딴마음이다. 아까워라, 두고 온 민들레.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5-08-0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