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수제 막걸리/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수제 막걸리/최광숙 논설위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5-08-18 18:10
수정 2015-08-18 19: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식탁에 생선이 오르면 비릿하다고, 파전이 오면 너무 기름지다고, 즐거운 일이 있으면 그냥 지나갈 수 없다고, 좋지 않은 일이 생기면 맨 정신으로는 살 수 없다고…. 이런저런 이유로 ‘술맛’을 다시는 남편을 당해 낼 수 없다. 그러다 보니 냉장고에는 늘 막걸리가 있다.

어느 날 택시를 탔는데 기사인 할아버지도 막걸리 예찬론을 폈다. 하루에 한 병씩 반주로 마신단다. 아픈 데 없이 건강한 게 모두 막걸리 덕이라고 했다. 자신의 부인이 잊지 않고 늘 밥상에 막걸리를 챙겨 주는 것도 그래서란다. 얘기를 나누다 보니 대학교 선배분이다. 은퇴 후에도 노후에 일하는 모습이 보기 좋아 막걸리 한 잔 사드시라고 거스름돈도 받지 않았지만 막걸리 건강론에는 끝내 동의할 수 없었다.

얼마 전 한 식당에서 서비스로 내 놓은 막걸리를 한 잔 받아먹었다. 식당 주인이 만든 것인데 시금털털하면서도 달짝지근해 오묘한 맛을 냈다. 목 넘김도 좋았다. 내년부터는 동네 식당에서도 막걸리를 빚어 팔 수 있게 된다고 하니 곧 이런 수제 막걸리도 시장에 선보일 것이다.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은 좋은데 애주가 남편을 생각하면 벌써 걱정이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5-08-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