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지공족’의 가을/구본영 논설고문

[길섶에서] ‘지공족’의 가을/구본영 논설고문

구본영 기자
입력 2015-10-19 17:56
수정 2015-10-20 0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늦은 오후의 가을 햇볕은 오래 흘러온 강물을 깊게 만들다/…여고 2학년 저 종종걸음 치는 발걸음을 붉게 만들다” 고운기 시인의 ‘가을 햇살’의 일부다. 시구처럼 이 가을도 깊은 강물처럼 사색에 잠기게 해 놓고 잰걸음으로 우리 곁을 떠나갈 것만 같다.

가을은 이처럼 속절없이 깊어만 가는가. TV 뉴스에 비친 설악산은 짙은 단풍으로 타오르고 있었다. 봄, 여름 그토록 무성했던 푸른 잎들이 어느 새…. 이런 상념에 젖어 들 즈음 문자 메시지를 받았다. 오래전 현업을 떠난 한 선배가 낙엽처럼 졌다는 부음이었다. 문득 선배가 생전에 했던 말이 떠올랐다. 앞으로 지하철을 공짜로 탈 수 있게 됐다는 뜻으로 “‘지공족’이 됐으니 축하해 달라”며 지었던, 착잡한 표정도.

선배가 남긴 농담의 여운 때문일까. 조간신문에서 정부의 고령사회 대책에 눈길이 갔다. 특히 지하철 등 공공시설의 무료 이용 연령이 현재는 65세인데 이를 상향 조정한다는 대목이 눈에 띄었다. 정책을 바꾸는 데는 그만한 까닭이 있을 터. 그렇다 하더라도 노년을 가을볕에 반짝이는 단풍처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데 정책의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쳤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5-10-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