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지하철 통화/김성수 논설위원

[길섶에서] 지하철 통화/김성수 논설위원

김성수 기자
입력 2015-10-30 23:08
수정 2015-10-31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러게 말이야. 걔 정말 미친 거 아니니? 하! 하! 하!”

벌써 20분이 훌쩍 넘었다. 30대 초반인 듯한 여성이 휴대전화로 끝없이 수다를 떤다. 지하철 2호선 출근길에서다. 조용한 지하철 안에서 혼자만 떠든다. 목소리도 쩌렁쩌렁하다. 금세 끊을 것 같지도 않다. 참다못한 몇몇이 그녀가 서 있는 문쪽을 힐끔힐끔 흘겨본다. 불쾌한 표정과 함께다. 하지만 그녀는 개의치 않는다. 오히려 당당하게 전화에 대고 자기 할 말만 주욱 더 해댄다.

이게 뭐지, 아침 댓바람부터. 슬슬 부아가 치민다. 시시껍적한 남의 사생활 얘기나 억지로 미주알고주알 다 듣고 있어야 하나. 한마디 해 볼까. 몇 번을 망설이다 말았다. 괜한 싸움으로 번질까 봐 ‘소음공해’를 견디는 쪽을 택했다. 참고 있자니 피곤한 출근길이 더 고역이다. 때마침 미리 짠 것처럼 안내방송이 흘러나온다. 타인에게 방해가 되니 휴대전화 통화를 자제해 달라는 당부다. 진심으로 공감한다.

그런데 어쩌나. 정작 방송을 들어야 할 사람은 하나도 듣지 않고 있다. 전화하는 데 정신이 팔려서. 이름 모를 ‘출근길 폭군’은 남과 더불어 사는 기본부터 배우길!

김성수 논설위원 sskim@seoul.co.kr
2015-10-3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