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명함/김성수 논설위원

[길섶에서] 명함/김성수 논설위원

김성수 기자
입력 2015-11-06 17:48
수정 2015-11-06 17: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직업이 직업인 만큼 받아 둔 명함이 많다. 집에도, 사무실의 책상서랍 한켠에도 명함이 넘쳐난다. 이사 갈 때나 인사이동으로 자리를 옮길 때면 항상 골칫거리다. 다 가져갈 순 없으니 버릴 건 버려야 한다.

그래서 나름의 정리 기준도 있다. 10년 이상 오래됐거나, 받아 놓고 한 번도 전화한 적이 없는 것, 이름과 얼굴이 매치되지 않는 명함은 그냥 휴지통행(行)이다. 고인(故人)이 된 분의 명함도 안타깝지만 버린다. 다시 통화할 길이 없으니….

얼마 전 한 금융회사의 부사장을 임원으로 승진한 회사 선배와 함께 만났다. 놀랍게도 그분은 20여년 전 그 선배가 평기자일 때 건넸던 명함을 아직도 갖고 있다고 했다. 명함은 상대방에게 나를 기억해 달라는 의미도 있다. 20년 넘게 명함을 간직했다면 그동안 그 사람을 잊지 않고 주욱 관심을 갖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한 번 맺은 인연을 소중히 한다는 뜻도 된다.

나도 누군가에게는 이름 석 자가 박혀 있는 명함으로 기억된다. 내 명함이 버려졌다면 유쾌할 리 없다. 연락이 끊겼다고, 얼굴이 떠오르지 않는다고 함부로 남의 명함을 버릴 일이 아니다.

김성수 논설위원 sskim@seoul.co.kr
2015-11-0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