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빛과 어둠/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빛과 어둠/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16-07-06 22:46
수정 2016-07-06 2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창 시절 새벽 1시쯤 하루 공부를 마치고 책상 위 불을 끄면 방 안은 이내 칠흑 천지로 바뀌었다. 한 줄기 빛조차 용납 않는 순흑(純黑)의 어둠, 그 자체다. 두 손을 더듬어 방바닥에 펼쳐진 이부자리를 찾아 기어들어가 몸을 누일 때까지 시각은 완전히 차단된다. 그럴 때마다 캄캄한 광 속에 갇힌 것 같은 두려움이 엄습하곤 했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진한 어둠이 보내는 미세한 신호를 시신경이 포착해 어슴푸레 책상이며, 액자며 윤곽을 드러내면 비로소 모든 걱정을 거둬들이고 진한 잠에 빠져들 수 있었다. 빛이 있으면 어둠도 있다는 진리는 그때 깨우쳤다. 유리 창문을 뚫고 들어오는 고작 한 가닥 별빛이 거대한 검은 쇳덩어리 같은 순흑의 어둠을 몰아냈다.

나이가 들면서 빛이 거북해지고 있다. 어두운 색깔의 커튼으로 창문을 꼭꼭 가리지 않으면 불을 꺼도 밤이 아니다. 창밖의 붉은 네온사인이 숙면을 방해한 지 오래됐다. 이쯤 되면 빛 공해라고 할 만하다. 빛과 어둠이 매일 절반씩 서로 자리를 내주라는 게 하늘의 뜻이지만 인간들은 밤을 낮같이 오히려 더 밝게 만들겠단다. 어릴 적 두려워했던 그 진한 어둠이 오히려 이제는 그립다.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16-07-0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