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모기장/박홍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모기장/박홍기 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6-07-27 22:42
수정 2016-07-28 00: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여름밤 마당에다 모깃불을 피우곤 했다. 건초를 모아 불을 지핀 뒤 갓 베어 온 풀을 올리면 매캐한 연기가 하늘로 솟구쳤다. 달려들던 모기들이 얼씬 못 했다. 그럴 때쯤 마당에 깐 멍석으로 저녁상을 내오셨다. 기둥에 매단 전깃불엔 나방이며, 풍뎅이가 찾아들었다. 가끔 말매미가 날아들 땐 조카들이 바빠졌다. 숟가락을 잡았던 손엔 어느새 매미채가 들려 있었다.

시골의 한여름밤은 누군가에겐 목가적이다. 넓은 마당에 멍석을 깔고, 별을 보며, 바람을 느끼는…. 다른 누군가에겐 모기와의 전쟁이다. 모기장을 치지 않고는 제대로 잠을 잘 수 없었다. 가끔 모기장 안으로 침입한 놈들 탓에 자다 일어나 한판 벌이기도 했다. 손바닥으로 쳐서 잡으면 선홍색 피가 묻어날 때도 있었다. “애고! 아까운 피.”

도회지라고 모기가 없을까마는, 방충망이 잘 설치됐다 싶은 아파트인데 때때로 모기들의 공격을 받았다. 지금껏 모기약을 뿌리고, 전자 모기향을 써 왔는데 유해하니, 무해하니 말들이 많아 아예 자연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 얼마 전 모기장을 샀다. 학교에서 돌아온 딸내미의 한마디. “오늘부턴 모기장 덕에 편하게 잘 수 있겠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6-07-2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