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고인(故人)의 생일/손성진 논설실장

[길섶에서] 고인(故人)의 생일/손성진 논설실장

손성진 기자
입력 2016-12-09 19:52
수정 2016-12-09 2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도 어김없이 돌아가신 분으로부터 전갈이 왔다. 수년 전 아까운 나이에 고인이 된 분의 유족들이 고인의 SNS를 없애지 않고 관리하고 있어 생일을 알려 주는 메일이 도착한 것이다.

고인의 SNS에 들어가 보았다. 500명이 넘는 친구들도 그대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곳은 어때요? 잘 지내고 있소?” 고인에게 보내는 친구의 안부 인사부터 여러 글이 올라 있다.

“○○ 아빠 보고 싶어요. 어머니가 하늘나라에 가셨어요.” “당신의 마음 같은 맑은 하늘 바라보며 같이 손잡고 교회 뜰을 걷고 싶어요.” 부인이 고인에게 쓴 글이다. 고인이 아니라 마치 살아 있는 듯하다. 자식들의 결혼 소식과 손자, 손녀들이 자라는 모습도 있다. “천국에서도 바쁘네요.” 한 지인은 이런 재치 있는 글도 써 놓았다.

내 휴대전화기에는 고인이 된 지인들의 전화번호가 그대로 남아 있다. 물론 전화를 걸어도 받지 않는다. 그래도 지우지는 않는다. 가끔 전화번호를 넘겨 보면서 그렇게 친하지는 않았어도 이 세상에 없는 그들을 떠올리곤 한다. 일찍 갈 줄 알았으면 살아 있을 때 더 친하게 지내려 했을 것이라는 생각도 해 본다.

손성진 논설실장 sonsj@seoul.co.kr
2016-12-1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