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인사/박홍기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인사/박홍기 수석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7-04-25 22:46
수정 2017-04-26 01: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엘리베이터 문이 열렸다. 가방을 멘 초등학생이 유치원생처럼 허리를 숙여 배꼽 인사를 했다. “안녕” 그리고 “고마워, 인사해서”, 내릴 땐 “학교 조심해 가.” 아파트 이웃들을 잘 모른다. 일부러 찾지 않는 한 별로 마주칠 일이 없으니 제대로 알 턱이 없다. 다만 낯익은 분들을 마주치면 목례를 할 정도다. 대화를 나눈 적도 거의 없다.

회사에 도착해 사무실로 가는 엘리베이터에 올랐다. 문이 닫히는 순간 누군가 달려오는 듯해 얼른 열림 버튼을 눌렀다. 타더니 표정 없이 등을 보이고 섰다. 속으로 한마디 한다. “고맙다고 하면 어디 덧나나.” 일상에서 수시로 겪는 일이다. 낯선 사람은커녕 낯익은 사람도 작은 일에 도움을 받거나, 실례를 할 때 고마움이나 미안함을 표시하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다. 대체로 감정 드러내기를 꺼리는 것 같다.

인사한 쪽이 오히려 쑥스럽다. 실없이 보여서다. 상대방의 무표정, 무반응 탓이다. 무뚝뚝한 게 대수는 아닌데?. 다음엔 그러려니 하거나 못 본 체다. 악순환이다. “안녕하세요.”, “고맙습니다.”, “실례합니다.” 뭐가 그리 힘든가. 꼬마보다 못한 어른들이 꽤 많다.
2017-04-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