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사라지는 겨울풍경/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사라지는 겨울풍경/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0-01-29 21:58
수정 2020-01-30 0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딱지나 구슬 외에 변변한 놀이 재료가 없던 시절, 찬 바람이 쌩쌩 불던 겨울은 그래도 눈(雪)이 있어 즐거웠다. 함박눈이 내리는 날 꼬마들은 어김없이 골목이나 공터에 모여 편을 갈라 눈싸움을 하곤 했다. 왜 그렇게 아이들이 많았는지 ‘동네 꼬마들’ 천지였다. 집집마다 연년생 형제자매 또는 한 해 걸러 태어난 아이들이 바글바글했다. 성원이 안 돼 눈싸움을 못 하는 날은 없었다.

눈싸움의 승패 관건은 얼마나 빨리 단단하게 눈을 뭉치느냐에 달렸다. 뒤쪽에 있는 아이들이 연신 눈을 뭉쳐 ‘전방’의 아이들에게 전달하고, 앞쪽 아이들이 정확하고 힘 있게 눈뭉치를 던지면서 전진해 상대편 진영을 허물어뜨리면 승부는 끝이 났다. 눈뭉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물에 적셔 얼리거나 적당한 크기의 돌멩이를 안에 넣고 뭉치는 편법을 쓰기도 했다. 매우 추운 날 흩날리는 싸리눈보다 비교적 포근한 날 쏟아져내리는 함박눈이 스펀지처럼 물기를 잔뜩 머금어 잘 뭉쳐진다는 사실도 그때 알았다.

이번 겨울은 눈 보기가 하늘의 별 보기만큼이나 어렵다. 일부러 강원도 오지를 찾지 않고서는 눈 씻고 찾아봐도 눈이 안 보인다. 그런데 눈이 온다고 동네 눈싸움이 재현될까. 이상기후에 인구변화까지, 눈싸움은 옛 풍경이 돼 버렸다.

stinger@seoul.co.kr

2020-01-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