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진정한 회춘(回春)/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진정한 회춘(回春)/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0-11-29 20:18
수정 2020-11-30 03: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함내군방아미토(檻內羣芳芽未吐·울타리 안 온갖 꽃들은 아직 피어날 기미도 없건만) 조이회춘(早已回春·봄은 이미 일찍 돌아와 있었네).’ 당송팔대가 가운데 한 명인 북송 시대 시인 소동파의 ‘봄을 찾아서’라는 시에 나오는 구절이다. 이처럼 회춘은 겨울이 가고 봄이 온다는 뜻이다. 요즘 우리네 사회에선 노인이 도로 젊어졌다는 뜻으로 더 많이 쓰인다.

나이보다 많이 어려 보이는 사람에게 흔히 “세월도 비켜가네”라거나 “나이를 거꾸로 먹었냐”며 부러움을 드러내는 게 인지상정이다. 노화 이전의 젊고 건강한 몸으로 회춘하는 것은 모든 이들의 꿈이기도 하다. 국내 연구진이 이런 ‘역(逆)노화’의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한다. 노화돼 죽어가는 인간의 세포를 암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혈기 왕성한 젊은 세포로 되돌리는 기술이란다. 20대의 탱글탱글한 피부를 가진 100세 노인이 앞으로 속출할지도 모르겠다.

그나저나 몸의 회춘과 동시에 사상과 생각까지도 젊어져야 조화로울 텐데 그건 가능할까. 그렇잖아도 ‘동안(童顔) 꼰대’가 즐비한 세상에 몸만 젊어지고 생각은 고루한 사람들을 숱하게 마주치는 것은 끔찍한 일이다.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는 정언(定言)에 한 가닥 희망을 가져야 할까.

stinger@seoul.co.kr
2020-11-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